형태론 22

'나무, 풀'은 무정명사 : 유정명사와 무정명사

유정명사와 무정명사는 '감정'을 가졌냐 여부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생물이지만 동물은 유정명사고 식물은 무정명사입니다. 유정명사(감정 있음, '에게' 사용) : 엄마, 남자, 개, 소, 닭 ... 무정명사(감정 없음, '에' 사용) : 돌, 책, 컴퓨터, 풀, 나무, 화분 ... cf) 무정명사를 의인화하기 위해 무정명사에 '에게'를 쓰기도 합니다. (예 : 나무에게 물을 주다) cf) 뉴스기사 등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해 유정명사에 '에'를 쓰기도 합니다. (예 : 전국민에 당부)

대학생활&공부 2020.07.30

명사 이외의 파생어들 : 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 파생 접두사/접미사

접두사에 의한 파생 : 접두사는 파생어의 품사를 못 바꾼다. n사인 어근에 어떤 접사가 결합하면 그 파생어는 n사다. (접두사의 종류) 명사 파생 : 개-(개살구, 개꿈, 개고생 등 질이 떨어지는 뜻을 더해줌. 주로 고유어 계열 단어에 접두사로 붙음), 노(늙은)-, 덧-, 돌-, 맏-, 부-, 수/숫-(이형태, 수컷의, 수꿩/숫양 등과 다르게 수탉/수캐에 격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중세국어 때 'ㅎ'발음의 영향 때문이다.), 알-, 잡-, 차/찰-(이형태, 기본형은 '찰-'이며 '차조'에서는 뒷말의 ㄴ,ㄷ,ㅅ,ㅈ 앞에서 '찰'의 ㄹ이 탈락했기 때문이며 '찹쌀'에서는 중세국어 합용병서(차+ㅄㅏㄹ)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찹쌀이 된다.), 참-, 탈-, 풋-, 한- 동사 파생 : 겉-, 늦-, 덧-, 맞-, 설-..

대학생활&공부 2020.07.29

국어 단어 분석의 관점과 단어 형성의 관점

비슷해 보이는 단어들이 형태소 분석할 때는 같지만 형성 과정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박음질 (1) 박음(어근) + -질(접미사) >> 파생 (2) 박(동사의 어근) + -음(접미사) >> 파생 = 파생 총 2번 cf) 접미사 '-음'이 '명사형 어미' 인 것처럼 보인다면? 다음을 참조하세요! 어간, 어근 구분 왜 쓸데없이 글자는 비슷해가지고... 간단히 말해서, 어간과 어근은 분석할 때가 다릅니다. 마치 명사/동사/부사 같은 품사와 주어/목적어/서술어 같은 문장성분을 부르는 때가 다르듯이... 어간� ojwisscary.tistory.com 싸움질 (1) 싸움(별개의 '단어'=사전 등재) + -질(접미사) >> 파생 = 파생 총 1번 다만 형태소 분석처럼 '분석'하는 관점에서는 어간, 어미를 활용하여 ..

대학생활&공부 2020.07.26

국어 파생어의 여러가지 특징 : 제약, 어휘화, 생산성

1. 파생의 제약 - 접미사 '-이'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에 결합 불가 (음운론적 제약) 예) 구두닦이, 젖먹이 는 되지만 *양치이, *책상물리이 는 불가 - 중국발 일본식 접미사 '-적'은 한자어 어근에만 결합 가능 (형태론적 제약) 예) 논리적, 자본주의적 은 되지만 *마음적, *돈벌이적은 불가 cf) 니체적, 소크라테스적 처럼 일부 서구 외래어에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함 - 저지(blocking)현상 :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 단어가 규칙적인 파생어의 생성을 방해함 (의미론적 제약) 예) 접미사 '-개'는 동사 뒤에 붙어 도구 명사를 파생시키지만, 이미 만들어진 도구 명사 '빗, 신, 띠, 되'의 존재가 '*빗개, *신개, *띠개, *되개'의 생성을 방해함 (빗, 신, 띠, 되 는 동사 어근인 동시..

대학생활&공부 2020.07.25

'새, 헌'은 무조건 접두사? : 접두사와 관형사/부사의 구별

1. 접두사 vs 관형사 공통점 : 후행하는 명사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헛살다') (관형사는 그 자체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임)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관형사는 분포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관형사보다 적음) 접두사 '맨-' : 맨손, 맨주먹, 맨발, 맨몸 / 맨책, 맨수건, 맨차, 맨세탁기 신체 나타내는 단어에만 파생 가능 (제약조건 있음) 관형사 '새' : 새 신발, 새 수건, 새 차, 새 공연, 새 세탁기, 새 책 ... 등 갖다붙이면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가 더 많음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관형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

대학생활&공부 2020.07.24

관형사가 딴 품사처럼 보이는 경우 2가지

수사 / 수 관형사 둘 더하기 셋 >> 수사 (체언) 컵 여덟 개 >> 수 관형사 관형사 / 안긴문장의 형용사 나는 모르니 다른(=딴) 사람에게 가. >> 관형사 ('딴'이라는 준말 가능) 너와 생각이 다른 사람도 있다. >> 안긴문장의 형용사 ('딴'이라는 준말 불가능, 안긴문장은 '너와 생각이 다르다', 안은문장은 '사람도 있다.') 참고문헌 : 현대국어형태론(황화상, 지식과교양)

대학생활&공부 2020.07.23

마의 불규칙 활용

국어 불규칙에 대해 도저히 감을 못 잡겠다면! 다음 신조(creed)를 알고 계시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될 것입니다. '불규칙' 활용이라 부르는 이유는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다르게 읽히고 소리나는 '돌연변이 특정 단어'가 있어서다. 불규칙 '활용'이니까 용언 어간과 어미에서만 해당 현상이 발생한다. 어간이 뭔지 모르겠다면? 어간, 어근 구분 왜 쓸데없이 글자는 비슷해가지고... 간단히 말해서, 어간과 어근은 분석할 때가 다릅니다. 마치 명사/동사/부사 같은 품사와 주어/목적어/서술어 같은 문장성분을 부르는 때가 다르듯이... 어간� ojwisscary.tistory.com 다음은 모든 불규칙 종류를 개략적으로 빠르게 훑어보는 타임입니다. 꽤 많은 종류가 있지만 이것 역시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

대학생활&공부 2020.07.19

'아어게지고'가 머드라... : 보조적 연결어미, 본용언과 보조 용언

코로나 때문에 대인접촉을 피해 캠핑이라도 가고 싶다. 1. 본용언과 보조용언 가고 : 단독으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는 용언 싶다 : 단독으로 서술어로 쓰일 수 없는 용언 (*~~ 캠핑이라도 싶다.) '가'가 본용언이고 '싶다'가 보조용언입니다. 2.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담당 기능 '주된' 본용언은 어휘적 의미를 담당하고 '의미 보충하는' 보조용언은 문법적 의미를 담당합니다.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의 경계를 잘 모르시겠다면 ' '안의 의미만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캠핑이라도 간다. (본용언) '여기에서 저기로 이동하다'란 어휘적 의미 캠핑이라도 가고 (본용언) 싶다. (보조용언) '여기에서 저기로 이동하다'란 어휘적 의미 (문장 내에서 행동 중 주된 것은 '싶기'가 아닌 '가기') '일어나지 않은 일을..

대학생활&공부 2020.07.13

형태소를 보는 2가지 관점

1. 자립하느냐를 두고 싸우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구분 관점 2. 의미의 주를 담당하느냐 부를 담당하느냐를 두고 싸우는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어휘 형태소/문법 형태소) 구분 관점 1.에 대해서는 앞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 2020/06/08 - [대학생활&공부] -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자립형태소다. 사실 의존명사+자립명사=명사 전체가 자립형태소다. 자립형태소의 '자립'은 그 형태소 그대로가 문장에서 떨어져 나와도 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자립형태소�� ojwisscary.tistory.com 2. 실질 형태소(=어휘 형태소)는 의미의 주를 담당합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1.에서의 자립형태소 전부) 동사, 형용사의 어근..

대학생활&공부 2020.06.08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자립형태소다. 사실 의존명사+자립명사=명사 전체가 자립형태소다. 자립형태소의 '자립'은 그 형태소 그대로가 문장에서 떨어져 나와도 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자립형태소가 '자립'하는 경우를 알아보자.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얘네들은 자립명사이다. 모두 문장 내에서 띄어쓰기를 통해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를 자립의 또다른 설명이라고 봐도 되겠다. 다음은 의존형태소이다. 조사, 동사, 형용사와 그 구성 요소(어근+접사 or 어간+어미) 이들은 모두 문장에서 따로 떨어져 나오지 못한다. 다들 어딘가에 붙어 있다. 조사는 당연히 체언 등 뒤에 띄어쓰기도 못하게 찰싹 붙어있고, 동사와 형용사는 이 둘이 '활용'한다는 점을 떠올리면 쉬울 것이다...

대학생활&공부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