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11

아무도 안 궁금해하는 수사의 특징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품사입니다. 1. 양수사와 서수사 수사는 크게 수량을 나타내는 수사인 '양수사'와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인 '서수사'로 분류됩니다. '양수사'는 '기본수사'라고도 합니다. 양수사 : 가격은 천 원입니다. / 사람 다섯 명 서수사 : 얘가 우리 첫째입니다. / 한국신문 제 일호 발간 2. 고유어 계열, 한자어 계열 국어에서 고유어로 셀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아은아홉' 그보다 큰 수는 한자어와 고유어를 섞어서 세야 함 '백~' 대체로 수 단위가 낮을 때는 고유어 수사가 쓰이지만, 수가 커질수록 한자어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음 3. 수학적 계산에서는 한자어가 쓰이는 게 일반적 4. 수량을 세는 단위명사 없이 사람이나 사물을 셀 때는 고유어만이 쓰임 계란..

대학생활&공부 2020.10.07

어떤 단어의 품사를 모르겠을 때

1. 감탄사입니까? 2. 띄어쓰기 없이 쓰인 곳의 뒷부분입니까? - 맞다면 >> 조사입니다. (띄어쓰기 없는 앞부분은 체언일 것. 이를 충족하는 '수를 나타내는 말'은 수사=수관형사 아님.) 2.. 활용하고 있습니까? - 활용한다면 동사 또는 형용사 >> 3.으로 - 활용 안한다면 체언 또는 수식언 >> 4.으로 3. 동사/형용사 구별 - 감탄형 어미 -는구나 가능 : 동사 - 목적/의도를 나타내는 어미 '-러/려' 가능 : 동사 -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만 가능 : 동사 -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ㄴ / -은'만 가능 : 형용사 -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 -ㄴ-' 가능 : 동사 4. 체언입니까? =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까? - 맞다면 >>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다. - 아니라면 수식..

대학생활&공부 2020.08.20

'것, 만큼, 때문'은 무슨 품사일까? : 의존명사

명사를 구분하는 기준 중 하나는 '해당 명사가 문장 내에서 다른 말의 도움 없이 쓰일 수 있느냐'입니다. 이에 O라고 답하는 명사는 '자립명사'입니다. 자립명사인지 알아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들을 다 치워버려도 문장이 말이 되면 그 명사는 자립명사입니다. 어제 먹은 과자가 아직도 소화가 안 됐다. >> 관형사절을 생략해도 의미가 통함 >> '과자'는 자립을 할 수 있으며 자립명사 이제 이 글에서 중요한 것, 아까 말한 기준에 X라고 답하는 명사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들을 치워버리면 문장이 비문이 됩니다. 어제 먹은 것이 아직도 안 나왔다. (윽) >> 관형사절을 생략하면 문장이 비문이 됨 >> '것'은 자립을 못하며 의존명사 이번엔 의존명사의 다양한 표본들..

대학생활&공부 2020.08.02

서술성이 있는 명사

명사의 일종인 서술성 명사의 분류! 1. 동작성 명사 : 특정한 동작 -> '-하다'가 붙으면 동사가 됨 2. 상태성 명사 : 어떤 상태나 성질 -> '-하다'가 붙으면 형용사가 됨 '-하다'가 자연스럽게 붙지 않으면 : 서술성을 갖는 명사, 즉 서술명사가 아니다. cf) 명사인 '문자, 게임, 소리'등은 '-하다'가 붙어서 '문자하다, 게임하다, 소리하다'가 되지만, 사전 기준 그 단어 자체가 동작,서술의 의미보다는 명사의 의미가 더 강하기 때문에(한자 등 어원에 동작성이 없음) 서술성(동작성) 명사로 보지 않습니다. '문자(를) 하다'처럼 '구'구성이 변형된 것의 일종으로 봅니다.

대학생활&공부 2020.08.01

있다, 없다의 품사

있다 : (동사로 쓰일 때) 안 움직이다, stay / (형용사로 쓰일 때) 존재하다 없다 : (형용사) 존재하지 않다 '없다'는 형용사로만!!! 있다(동사) : 안 움직이다, stay - 너 갔다 올 동안 나는 여기에 있는다? >> 나는 여기에 안 움직이고 stay 한다?/여기에 존재한다? (의미상으론 동사/형용사 판별 애매함) >> 선어말어미 '-는/ㄴ-'을 사용한 현재시제 종결형이 가능하므로 동사 - 책상 위에 있는 것 >> 책상 위에 stay하는 것/존재하는 것(의미상으론 동사/형용사 판별 애매함) >> 선어말어미 '-는/ㄴ-'을 사용한 관형사형 현재시제만 가능하므로 동사 (형용사는 선어말어미 '-은-' 사용 = '*있은' 것 불가) - 너 여기 그냥 있어라. / 우리 그냥 있자. / 우린 여기 ..

대학생활&공부 2020.07.29

명사 이외의 파생어들 : 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 파생 접두사/접미사

접두사에 의한 파생 : 접두사는 파생어의 품사를 못 바꾼다. n사인 어근에 어떤 접사가 결합하면 그 파생어는 n사다. (접두사의 종류) 명사 파생 : 개-(개살구, 개꿈, 개고생 등 질이 떨어지는 뜻을 더해줌. 주로 고유어 계열 단어에 접두사로 붙음), 노(늙은)-, 덧-, 돌-, 맏-, 부-, 수/숫-(이형태, 수컷의, 수꿩/숫양 등과 다르게 수탉/수캐에 격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중세국어 때 'ㅎ'발음의 영향 때문이다.), 알-, 잡-, 차/찰-(이형태, 기본형은 '찰-'이며 '차조'에서는 뒷말의 ㄴ,ㄷ,ㅅ,ㅈ 앞에서 '찰'의 ㄹ이 탈락했기 때문이며 '찹쌀'에서는 중세국어 합용병서(차+ㅄㅏㄹ)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찹쌀이 된다.), 참-, 탈-, 풋-, 한- 동사 파생 : 겉-, 늦-, 덧-, 맞-, 설-..

대학생활&공부 2020.07.29

'새, 헌'은 무조건 접두사? : 접두사와 관형사/부사의 구별

1. 접두사 vs 관형사 공통점 : 후행하는 명사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헛살다') (관형사는 그 자체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임)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관형사는 분포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관형사보다 적음) 접두사 '맨-' : 맨손, 맨주먹, 맨발, 맨몸 / 맨책, 맨수건, 맨차, 맨세탁기 신체 나타내는 단어에만 파생 가능 (제약조건 있음) 관형사 '새' : 새 신발, 새 수건, 새 차, 새 공연, 새 세탁기, 새 책 ... 등 갖다붙이면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가 더 많음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관형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

대학생활&공부 2020.07.24

관형사가 딴 품사처럼 보이는 경우 2가지

수사 / 수 관형사 둘 더하기 셋 >> 수사 (체언) 컵 여덟 개 >> 수 관형사 관형사 / 안긴문장의 형용사 나는 모르니 다른(=딴) 사람에게 가. >> 관형사 ('딴'이라는 준말 가능) 너와 생각이 다른 사람도 있다. >> 안긴문장의 형용사 ('딴'이라는 준말 불가능, 안긴문장은 '너와 생각이 다르다', 안은문장은 '사람도 있다.') 참고문헌 : 현대국어형태론(황화상, 지식과교양)

대학생활&공부 2020.07.23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자립형태소다. 사실 의존명사+자립명사=명사 전체가 자립형태소다. 자립형태소의 '자립'은 그 형태소 그대로가 문장에서 떨어져 나와도 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자립형태소가 '자립'하는 경우를 알아보자.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얘네들은 자립명사이다. 모두 문장 내에서 띄어쓰기를 통해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를 자립의 또다른 설명이라고 봐도 되겠다. 다음은 의존형태소이다. 조사, 동사, 형용사와 그 구성 요소(어근+접사 or 어간+어미) 이들은 모두 문장에서 따로 떨어져 나오지 못한다. 다들 어딘가에 붙어 있다. 조사는 당연히 체언 등 뒤에 띄어쓰기도 못하게 찰싹 붙어있고, 동사와 형용사는 이 둘이 '활용'한다는 점을 떠올리면 쉬울 것이다...

대학생활&공부 2020.06.08

굳이 어미를 접사로 분류해야겠을 때 : 굴절 접사

접사를 좀 더 학문적으로 분류하면, 파생접사와 굴절접사로 나뉩니다. 이때 굴절접사 = 어미 입니다. 또다른 접사 분류인 파생접사는 말 그대로 파생어를 만드는 '그' 접사입니다. 따라서 용언이 활용할 때 막 바뀌어대는 뒷글자들은 '굴절접사' 인거죠. 이 굴절접사는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그' 접사와 사뭇 다른 기능을 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굴절접사라고 안하고 대부분 어미라고 하는 거겠죠?) 굴절접사의 주요 기능 1. 용언의 서술성을 유지함 - 먹고/먹자/먹는/먹자 2. 사전에 미등재 - 어미(굴절접사) '-다'가 붙을 수 있는 활용형만 기본형으로 사전에 등재 - 사전을 보면 '먹다' 만 등재 - 반대 경우 : 파생접사 '-이', '-보'가 붙은 '먹이' '먹보' 는 사전에 따로 등재됨 3. 품..

대학생활&공부 202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