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명사 이외의 파생어들 : 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 파생 접두사/접미사

머니코드17 2020. 7. 29. 11:46
728x90

접두사에 의한 파생 : 접두사는 파생어의 품사를 못 바꾼다.

n사인 어근에 어떤 접사가 결합하면 그 파생어는 n사다.

(접두사의 종류)

명사 파생 : 개-(개살구, 개꿈, 개고생 등 질이 떨어지는 뜻을 더해줌. 주로 고유어 계열 단어에 접두사로 붙음), 노(늙은)-, 덧-, 돌-, 맏-, 부-, 수/숫-(이형태, 수컷의, 수꿩/숫양 등과 다르게 수탉/수캐에 격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중세국어 때 'ㅎ'발음의 영향 때문이다.), 알-, 잡-, 차/찰-(이형태, 기본형은 '찰-'이며 '차조'에서는 뒷말의 ㄴ,ㄷ,ㅅ,ㅈ 앞에서 '찰'의 ㄹ이 탈락했기 때문이며 '찹쌀'에서는 중세국어 합용병서(차+ㅄㅏㄹ)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찹쌀이 된다.), 참-, 탈-, 풋-, 한-

동사 파생 : 겉-, 늦-, 덧-, 맞-, 설-, 짓-, 헛

형용사 파생 : 강-('강마르다'는 접두사+동사=형용사가 되는 '접두사가 파생어의 품사를 바꾸는' 예외경우이다. '말랐다, 잘생겼다'처럼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았/었-'을 붙여서 현재형을 표현하는 형용사를 국립국어원에서 동사로 바꾼 바 있다. 이럴거면 접두사 '강-'자체를 동사 파생 접두사로 옮겨버려야 한다는 이견이 존재한다.), 겉-(겉약다), 얄-(얄밉다, 얄궂다), 데-(데거칠다, 데바쁘다), 드-(드높다, 드날리다), 새/시/샛/싯-(이형태, 어근 첫자가 양성모음이면 '새-'/음성모음이면 '시-'를 쓰고, 이와는 별개로 어근 첫소리가 거센/된소리면 'ㅅ'을 붙이지 않고(예외:새파랗다) 그냥 쓰고 울림소리면 'ㅅ'을 붙인다.), 엇-, 연-(연노랗다, 연푸르다), 휘-(휘넓다, 휘둥글다)

부사 파생 : 연-(연거푸), 외-(외따로)

 

 

 

접미사에 의한 파생 : 어근의 품사에 관계없이 어근에 'n사파생접미사'가 결합하면 그 파생어의 품사는 'n사'이다.

명사 파생 : 다음 링크 참조

 

국어 단어 분석의 관점과 단어 형성의 관점

비슷해 보이는 단어들이 형태소 분석할 때는 같지만 형성 과정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박음질 (1) 박음(어근) + -질(접미사) >> 파생 (2) 박(동사의 어근) + -음(접미사) >> 파생 = 파생 총 2번 cf) 접��

ojwisscary.tistory.com

동사 파생 : -하(다), -되(다), -드리(다), -이(다), -기(다), -뜨리(다), -트리(다), -애(다), -추(다), -히(다), -거리(다), -대(다), -이(다)

형용사 파생 : -하(다), -답(다), -롭(다), -음직스럽(다), -음직하(다), -다랗(다), -직하(다), -나(다), -되(다)

부사 파생 : -껏, -내, -씩, -이, -히, -코(기어코)

관형사 파생 : -까짓,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