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36

'비음동화'와 'ㄹ의 비음화'가 별개의 현상인 이유

음절말 ㅂㄷㄱ가 음절초 ㅁㄴ 앞에서 ㅁㄴㅇ 되는 것은 '비음동화'이고, ---------(A) 주로 한자어에서 음절초 ㄹ이 ㅂㄷㄱㅁㅇ 뒤에서 ㄴ 되는 것은 'ㄹ의 비음화'이다. --------(B) 근데 표준발음법 19항과 그 [붙임]을 보면 ㅁㅇ뒤에서 ㄹ이 ㄴ 된다고, (A)를 따로 나눠놨다. (나머지 ㅂㄷㄱ는 [붙임]에 붙임) (B) 역시 (A)라고 뭉뚱그려 생각하기 매우 쉽게 표준발음법을 만들어놨다. 실제 학교문법에서도 (B)를 (A)에 포함시켜 교육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수능엔 영향 없나?) 이제 다시 A를 '비음동화'로, B를 'ㄹ의 비음화'라고 치환해서 설명하겠다. 일단 학문적으로 비음화 = 비음동화 + ㄹ의 비음화 이렇게 두 노선으로 나눠 취급한다는 것을 알고 가자. 비음동화 : ㅂㄷㄱ이..

대학생활&공부 2022.01.27

움라우트(ㅣ모음 역행동화) 현상이 현대국어에서만 일어나는 이유

움라우트(ㅣ모음 역행동화) : 후설모음+양순음/연구개음(출발지)에서 전설모음'ㅣ'(목적지)까지 혀를 움직이는 거리가 너무 멀어서 출발지를 미리 앞당기는 것. 그래서 바지, 가지, 소리 같은 개재자음이 치조쪽에서 소리나는 자음인 경우 목적지 ㅣ에서 움직일필요가 거의 없어 움라우트가 안 일어난다. 오이, 누이, 보이다 처럼 아예 개재자음이 空인 경우 혀 움직임의 부담을 그냥 이중모음화 시켜버리면 그만이다. (뉘, 뵈다) 중세국어땐 출발지가 후설모음+양순음/연구개음 이라 하더라도 목적지가 전설모음 'ㅣ'인 경우가 많이 없었다. 거의 후설모음 .(아래아)를 포함한 .ㅣ, ㅢ를 모음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리날땐 [ㅏㅣ], [ㅓㅣ], [ㅡ ㅣ] 쯤으로 소리났다. 근대국어때 이들이 [ㅐ], [ㅔ], [ㅣ]로 전..

대학생활&공부 2021.07.23

중등학교 교육은 왜 아직도 형식도야설인가?

고등학교 1학년 때 국어 선생이 , 원문 복사본을 던져주고 내신으로 낼 테니 "외워."한 마디만 하고 가버린 날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아마 그 선생은 우리가 선뜻 이해하기 힘든 국어 규범집과 씨름하다 보면 국어 문법 근육이 단련될 것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이 경험은 내가 국어교육과에 가서도 얼마간 문법에 대한 공포를 유지하고, 일부러 다른 국어 분야에만 관심을 갖는 척하는 데 한몫 하였다. 올해 초 전공이었던 문법 공부를 계속해 나가던 나는 '비슷하게 불리는 어간과 어근은 각각 어떨 때 써야 하는 건가?'란 초보적 문제에 봉착했고 답안을 나름대로 정리해서 블로그에 정보글 형식으로 올렸다. 문법에 대해 계속적으로 숙고한 경험이 크게 어렵지 않다고 느껴 이후 국어 문법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어려워할 법한 문..

대학생활&공부 2021.01.02

아무도 안 궁금해하는 수사의 특징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품사입니다. 1. 양수사와 서수사 수사는 크게 수량을 나타내는 수사인 '양수사'와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인 '서수사'로 분류됩니다. '양수사'는 '기본수사'라고도 합니다. 양수사 : 가격은 천 원입니다. / 사람 다섯 명 서수사 : 얘가 우리 첫째입니다. / 한국신문 제 일호 발간 2. 고유어 계열, 한자어 계열 국어에서 고유어로 셀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아은아홉' 그보다 큰 수는 한자어와 고유어를 섞어서 세야 함 '백~' 대체로 수 단위가 낮을 때는 고유어 수사가 쓰이지만, 수가 커질수록 한자어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음 3. 수학적 계산에서는 한자어가 쓰이는 게 일반적 4. 수량을 세는 단위명사 없이 사람이나 사물을 셀 때는 고유어만이 쓰임 계란..

대학생활&공부 2020.10.07

사이시옷 없는데 왜 있다 그러세요?

콧물, 치맛바람, 눈병, 솔방울 이 단어들은 모두 사이시옷이 있습니다. 눈병, 솔방울 이건 아니라고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면 사이시옷이 '있다'고 간주합니다. 1. 합성어다. 2. 합성어를 이루는 어근 중 한 개 이상이 고유어다. * 3. 뒷 어근 첫 자음이 된소리로 발음된다. (눈병, 솔방울) 4. 뒷 어근 첫 자음이 된소리가 될만한 발음이 아닐땐(ㄴ,ㅁ) 앞 어근 끝에 발음상 [ㄴ,ㅁ]이 첨가된다. (콧물) - 이럴 때 사이시옷이 있으며, 앞 어근 끝이 모음으로 끝나면 그제서야 사이'ㅅ'표기를 반영해준다. (치맛바람) * (예외) 모든 어근들이 한자어인데 사이시옷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딱 6개가 있습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대학생활&공부 2020.10.04

불규칙 활용 문제를 푸는 행동 시퀀스

'태극기를 달다'에서 동사 '달다'는 불규칙 활용한다. 맞을까요 틀릴까요? - 어... 달다, 다니, 다세요... 맞는거 같은데? 흔히 이런 식으로(수능 객관식 선지가 특히) 불규칙 활용을 묻는 문제가 나옵니다. 학교 국어 수업에 졸지 않았다고(불규칙 활용이 뭔지 개념적으로 알고 있다고) 해도 예시 용언을 하나 던져놓고 그것이 불규칙 활용하냐 진위여부를 판단하라고 하면 잠시 뇌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뇌절.....아니 뇌정지 순간이 올 때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문제 용언이 불규칙 활용이 되는 양상을 상상해본다. (참고로 용언 = 동사+형용사) 2. 그 양상이 어간이 바뀌는 양상인지, 어미가 바뀌는 양상인지 판단한다. 3. 알고 있는 (어간 또는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 활용 종류..

대학생활&공부 2020.09.06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1. 한국어는 첨가어(교착어)이다. - 어기에 조사, 어미 같은 문법 형태소들이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함 - 문법 형태소들에 대해 잘 아는 것이 국어 문법을 잘 하는 것 2. 한국어는 유형적으로 SOV 언어이다. - 타동사가 쓰이는(목적어를 꼭 취하는) 문장 기준 주어-목적어-동사 순으로 옴 (영어 같은 인도유럽어 대부분, 중국어 등은 SVO 언어임) - SOV 언어 : 후치사 사용 (후치사 : 명사 뒤에 붙는 것. 조사 등) - SVO 언어 : 전치사 사용 (전치사 : 명사 앞에 붙는 것. at, to, of 등) - 한국어는 후치사 말고도 어미, 보조 동사도 각각 어간, 본동사 뒤에 위치함. (어미, 보조 동사가 명사 뒤에 붙는 후치사라는 것은 아님, 다만 '後'에 안치된다는 속성을 지니는 건 똑같음...

대학생활&공부 2020.09.05

깎아 주세요? 깎아주세요? : 보조 용언을 띄어쓰기하는 조건

한글맞춤법 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써도 된다. - 합성 용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 -아/-어 이외의 보조적 연결 어미가 오는 경우에는 뒤의 보조 용언을 띄어 쓴다. >> 반대말 : -아/-어 라는 보조적 연결 어미가 오면, 뒤의 보조 용언은 위 문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47항을 지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써도 된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띄어쓰기 붙여쓰기 -아/-어 뒤 ㅇ ㅇ 그 외 ㅇ X 깎아 주세요. 깎아주세요. 두 가지 모두 맞는 띄어쓰기입니다. 참고로 첫 번째 - 인 합성 용언은 '덤벼들어 보았다.'의 '덤벼+들어'처럼 용언을 구성하는 어간이 두 가지 이상 사전 등록되어있는 경우입니다.

대학생활&공부 2020.08.24

데, 지는 의존명사라매요? : 같은 형태의 의존명사와 어미의 구별

한글맞춤법 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데' '지'는 '부메랑을 던진 데로 갔다.', '식사한 지 30분이 지났다.' 등에 쓰이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니까 42항을 칼같이 따라 띄어서 써야겠죠? 그런데 이런 문장도 있단 말이죠. 내가 다리를 건넜는데 강아지가 따라왔다. 나는 밥 먹을 때 물을 먹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데', '지'를 붙여 쓰는 경우가 맞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땐 (연결)어미로 활용된 경우인데요. 의존명사로 쓰일 때와 어미로 쓰일 때 뜻 차이가 납니다. 붙여서 쓰는 '데'와 띄어서 쓰는 '데'가 동시에 나올 때 어떤 게 '띄어쓰는 게 맞는 의존명사 데'인지 알아보려면, '데'를 곳/장소/일/것/경우 로 바꿔서 읽었을 때 자연스러울 시 의존명사입니다. (바꿀 때 조사가 딸려 나..

대학생활&공부 2020.08.21

부사격 조사와 접속 조사를 판별하는 법 : 와/과, (이)랑, 하고 등등

나는 국어와 물리를좋아한다. 데이브와 커트는 친구였다. 여기서 '와'가 조사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왜 조사인지 모르겠다면? 어떤 단어의 품사를 모르겠을 때 1. 감탄사입니까? 2. 띄어쓰기 없이 쓰인 곳의 뒷부분입니까? - 맞다면 >> 조사입니다. (띄어쓰기 없는 앞부분은 체언일 것. 이를 충족하는 '수를 나타내는 말'은 수사=수관형사 아님.) 2.. 활용하고 ojwisscary.tistory.com 그런데 가끔 이 '와'가 상대/상호보완의 의미를 지니는 부사격 조사인지, 단순히 대등하게 이어주는 접속 조사인지를 물어보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실제 국어생활에 이런 걸 몰라도 사는 데 지장 없는데 하실 수도 있겠지만 분명히 상대/대등의 의미를 다르게 쓰는 뉘앙스 차이를 우리 모두 인지하고 있고, 그 뉘앙..

대학생활&공부 2020.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