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어 불규칙에 대해 도저히 감을 못 잡겠다면!
다음 신조(creed)를 알고 계시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될 것입니다.
'불규칙' 활용이라 부르는 이유는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다르게 읽히고 소리나는 '돌연변이 특정 단어'가 있어서다.
불규칙 '활용'이니까 용언 어간과 어미에서만 해당 현상이 발생한다.
어간이 뭔지 모르겠다면?
어간, 어근 구분
왜 쓸데없이 글자는 비슷해가지고... 간단히 말해서, 어간과 어근은 분석할 때가 다릅니다. 마치 명사/동사/부사 같은 품사와 주어/목적어/서술어 같은 문장성분을 부르는 때가 다르듯이... 어간�
ojwisscary.tistory.com
다음은 모든 불규칙 종류를 개략적으로 빠르게 훑어보는 타임입니다.
꽤 많은 종류가 있지만 이것 역시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듯합니다.
그리고 이 종류들은 어간, 어미의 각각 변하는지 여부에 따라 4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슬래시)로 구분되는 것은 이형태 교체(모음조화에 따라 약간 다르게 소리나는 거)를 뜻합니다.
어간이 바뀌는 경우
ㄷ 불규칙 : 어간의 끝 ㄷ 뒤에 모음이 오면 ㄹ로 바뀐다.
ㅂ 불규칙 : 어간의 끝 ㅂ 뒤에 모음이 모면 ㅗ/ㅜ로 바뀐다.
ㅅ 불규칙 : 어간의 끝 ㅅ 뒤에 모음이 오면 탈락한다.
ㅜ 불규칙 : 어간의 끝 ㅜ 뒤에 '-어'가 오면 탈락한다.
르 불규칙 : 어간의 끝 '르' 뒤에 '-아/어', '-이(-)'가 오면 어간과 어미에 걸친 '-ㄹㄹ-'로 바뀐다.
어미가 바뀌는 경우
러 불규칙 : 어미 '-어'가 어간 '르' 뒤에 붙으면 '-러'가 된다.
특정 단어 한 가지에서 어미가 바뀌는 경우 (돌연변이가 1개뿐인 경우)
여 불규칙 : 동사 '하다'에서 어미 '-아/어'는 '-여'가 된다.
너라 불규칙 : 동사 '오다'에서 명령형 어미 '-아라'는 '너라'가 된다.
특정 품사에서 어간, 어미 모두 바뀌는 경우
ㅎ 불규칙 : 형용사 어간의 끝 ㅎ 뒤에 '-아/어'가 오면 ㅎ은 탈락하고 '-아/어'는 '-애/에'가 된다.
이제는 이 불규칙의 적용을 받는 주요 '돌연변이 특정 단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ㄷ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어간의 끝 ㄷ 뒤에 모음 어미가 옴 | 믿다 : 믿어, 믿은, 믿으니, 믿으면 닫다 : 닫다, 닫은, 닫으니, 닫으면 뻗다 : 뻗다, 뻗은, 뻗으니, 뻗으면 묻다(땅에) : 묻다, 묻은, 묻으니... 걷다(세금을) : 걷다, 걷은, 걷으니... ...등등 |
묻다(질문하다) : 물어, 물은, 물으니... 걷다(walk) : 걸어, 걸은, 걸으니, 걸으면 깨닫다 : 깨달아, 깨달은, 깨달으니... 일컫다 : 일컬어, 일컬은, 일컬으니...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ㅂ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어간의 끝 ㅂ 뒤에 모음 어미가 옴 | 집다 : 집어, 집은, 집으니, 집으면 굽다(곡선) : 굽어, 굽은, 굽으니... 좁다 : 좁아, 좁은, 좁으니, 좁으면... ...등등 |
덥다 : 더워, 더운, 더우니, 더우면 굽다(불에) : 구워, 구운, 구우니, 구우면 아깝다 : 아까워, 아까운, 아까우니... 정답다 : 정다워, 정다운, 정다우니... 미끄럽다 : 미끄러워, 미끄러우니... 염려스럽다 : 염려스러워, 염려스러우니..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ㅅ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어간의 끝 ㅅ 뒤에 모음 어미가 옴 | 씻다 : 씻어, 씻은, 씻으니, 씻으면 빗다 : 빗어, 빗은, 빗으니, 빗으면 웃다 : 웃어, 웃은, 웃으니, 웃으면 앗다 : 앗아, 앗은, 앗으니, 앗으면 ...등등 |
긋다 : 그어, 그은, 그으니, 그으면 붓다 : 부어, 부은, 부으니, 부으면 잇다 : 이어, 이은, 이으니, 이으면 낫다 : 나아, 나은, 나으니, 나으면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ㅜ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어간의 끝 ㅜ 뒤에 어미 '-어'가 옴 | 주다 : 주어(줘) 꾸다 : 꾸어(꿔) 쑤다 : 쑤어(쒀) ...등등 |
푸다 : 퍼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르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어간의 끝 '르'뒤에 '-아/어'가 옴 | 치르다 : 치러 들르다 : 들러 (어간 '르'가 아예 어미화됨) |
오르다 : 올라 빠르다 : 빨라 누르다 : 눌러 모르다 : 몰라 구르다 : 굴러 기르다 : 길러 (어간 '르' 일부가 일부는 어미화되고, 일부는 어간 자리에 ㄹ로 남음 = 어간과 어미에 걸친 'ㄹㄹ')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러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어간의 끝 '르' 뒤에 어미 '-어'가 옴 | 치르다 : 치러 들르다 : 들러 이르다(early) : 일러 누르다(push) : 눌러 |
푸르다 : 푸르러 이르다(reach) : 이르러 누르다(yellow) : 누르러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여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동사 '하다' 의 어미가 '-아/어'인 경우임 | 가다 : 가 (가+ -아) 타다 : 타 (타+ -아) 자다 : 자 (자+ -아) 파다(땅을) : 파 (파+ -아) |
하다 : 하여, 하여서, 하였다, 해 ('해'는 '하여'의 축약형임)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너라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동사 '오다'의 어미가 명령형 '-아라'인 경우임 | 쏘다 : 쏘아라 (쏴라) 쪼다 : 쪼아라 (쫘라) |
오다 : 오너라 사실 현대에 들어 '오+아라' 의 규칙활용 버전인 '와라'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여 2017년 국립국어원은 '오너라'만 쓰던 시절 만들어진 '너라 불규칙'을 폐지했습니다. 하지만 학교문법에 아직 남아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글에 불규칙활용의 일종으로 넣었습니다. |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 일정하게 소리나는 활용들 | ㅎ 불규칙 활용을 받아 다르게 읽히고 소리남(발음됨) |
형용사이고, 어간의 끝 'ㅎ'뒤에 -아/어'가 옴 | 좋다 : 좋아 | 파랗다 : 파래 하얗다 : 하얘 (하얗 + -아 = 하얗 + -애 -> 하얘) 노랗다 : 노래 까맣다 : 까매 |
불규칙 활용이 나오는 문제를 풀 때 실용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은 아래 글에 있습니다.
불규칙 활용 문제를 푸는 행동 시퀀스
'태극기를 달다'에서 동사 '달다'는 불규칙 활용한다. 맞을까요 틀릴까요? - 어... 달다, 다니, 다세요... 맞는거 같은데? 흔히 이런 식으로(수능 객관식 선지가 특히) 불규칙 활용을 묻는 문제가 나
ojwisscary.tistory.com
'대학생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형사가 딴 품사처럼 보이는 경우 2가지 (0) | 2020.07.23 |
---|---|
과외를 교육학적으로 하는 방법 - 켈러의 ARSC이론을 바탕으로 (0) | 2020.07.19 |
문장을 문법적으로 분석할 때 '어미'를 어디에 써야 할 지 : 용언의 활용 (0) | 2020.07.17 |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5(final) : 가전 (0) | 2020.07.16 |
[한국교원대학교 ACE+사업 홍보단] 학생활동이력관리 & 졸업인증제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