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과외를 교육학적으로 하는 방법 - 켈러의 ARSC이론을 바탕으로

머니코드17 2020. 7. 19. 16:10
728x90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아무도 과외를 안시켜줘봐서 모르겠다

1. 주의

- 지각적 주의환기 : 매 수업때마다 이벤트 또는 모순된 문제 제시(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안 풀리는 거). 너무 많이 쓰면 둔감해짐. 양념처럼 사용

- 인식적 주의환기 : 오늘 배울 것의 현실적인 가치를 제시하여 인지적인 호기심 유도

- 다양성 : 다양한 수업방식으로 주의를 지속시키는 거라는데 이건 현실적으로 힘들듯. 굳이 하자면 학생 참여(문제 풀어보기, 답과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말해보기)를 늘리는 것

 

2. 관련성

- 친밀성 : 친숙한 소재 등장

- 목표지향성 : 목표를 항상 생각하며 공부하게 해야 하는데, 재밌는 학습목표로(차라리 자신이 원하는걸 말한 다음 배우면 보다 재밌음)

- (학습자의) 필요나 동기와의 부합성

 - 다양한 수준의 학습목표 : 기초 응용 심화 등 다양한 '가격대'를 정해 놓고 학습자가 자기 필요에 따라 선택하게 함

 - 학업성취여부 기록체제 : 매 수업 때마다 수업 일지(학생의 관찰결과)를 샘이 적는 걸 보여줌(학부모에게 보여줄 거라는 걸 암시)

 - 비경쟁적 학습상황 :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듣는 과외를 비경쟁적으로 가르친다? 1인 과외라는 선에서 제한적으로나마 가능

 - 협동적 상호학습 : 과외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음

 

3.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지각된 능력(자기효능감, 자기가 할수있다는 것을 인지) : 어려운 문제를 줘놓고 해볼만 하다, 할 수 있다고 부추기는 것

- 지각된 조절감 : 노력한 만큼 나온다는 느낌. 억지로 과외하는 학습자가 이 느낌과 정반대인 '안될안=학습된 무기력'을 가진다. 

- 성공에 대한 기대 : 작은 성공을 자주 경험시키기

 

실천사항

- 학습필요조건 제시 : 뭘 할줄 알아야 잘한다고 할 수 있는건지 알게 해야 함

- 성공의 기회 제시 : 성취감을 느끼는 장치를 배치

- 개인적 조절 : 빠르다고 또는 느리다고 피드백을 학생이 하게 하고 과외교사는 그에 맞게 학부모와 협의 후 조절

 

4. 만족감

-내적/외적 보상 : 외적 보상의 경우 선생에 의해 조작된다는 느낌을 주지 말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