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접두사 vs 관형사
공통점 : 후행하는 명사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헛살다')
(관형사는 그 자체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임)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관형사는 분포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관형사보다 적음)
접두사 '맨-' : 맨손, 맨주먹, 맨발, 맨몸 /맨책, 맨수건, 맨차, 맨세탁기신체 나타내는 단어에만 파생 가능 (제약조건 있음)
관형사 '새' : 새 신발, 새 수건, 새 차, 새 공연, 새 세탁기, 새 책 ... 등 갖다붙이면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가 더 많음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관형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원래 단어 사이에 딴 말이 낄 수 없음)
접두사 '맨-' :맨한쪽손, 맨거친손, 맨젖은발
관형사 '새' : 새 나이키 신발, 새 클래식 공연, 새 양자역학 책 ... 무궁무진함
2. 접두사 vs 부사
공통점 : 후행하는 용언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헛살다')
(부사는 용언,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부사는 분포가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부사보다 적음)
접두사 '헛-' :헛가다, 헛던지다등은 불가
부사 '빠르게' : 빠르게 가다, 빠르게 던지다 등등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부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원래 단어 사이에 딴 말이 낄 수 없음)
3. 야매
접두사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헛살다, 맨손, 새신랑, 헌신짝, 맏형
'대학생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엉이와 오뚝이에 대해 몰랐던 것 : 접미사로 파생된 명사 파생어 (0) | 2020.07.26 |
---|---|
국어 파생어의 여러가지 특징 : 제약, 어휘화, 생산성 (0) | 2020.07.25 |
관형사가 딴 품사처럼 보이는 경우 2가지 (0) | 2020.07.23 |
과외를 교육학적으로 하는 방법 - 켈러의 ARSC이론을 바탕으로 (0) | 2020.07.19 |
마의 불규칙 활용 (0) |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