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새, 헌'은 무조건 접두사? : 접두사와 관형사/부사의 구별

머니코드17 2020. 7. 24. 14:32
728x90

1. 접두사 vs 관형사

공통점 : 후행하는 명사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살다')

(관형사는 그 자체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임)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관형사는 분포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관형사보다 적음)

접두사 '맨-' : 맨손, 맨주먹, 맨발, 맨몸 / 맨책, 맨수건, 맨차, 맨세탁기 신체 나타내는 단어에만 파생 가능 (제약조건 있음)
관형사 '새' : 새 신발, 새 수건, 새 차, 새 공연, 새 세탁기, 새 책 ... 등 갖다붙이면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가 더 많음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관형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원래 단어 사이에 딴 말이 낄 수 없음)

접두사 '맨-' : 맨한쪽손, 맨거친손, 맨젖은발
관형사 '새' : 새 나이키 신발, 새 클래식 공연, 새 양자역학 책 ... 무궁무진함

 


2. 접두사 vs 부사

공통점 : 후행하는 용언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살다')

(부사는 용언,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부사는 분포가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부사보다 적음)

어? 왜 두번쳐지지? 어? 왜 두번쳐지지?

접두사 '헛-' : 헛가다, 헛던지다 등은 불가
부사 '빠르게' : 빠르게 가다, 빠르게 던지다 등등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부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원래 단어 사이에 딴 말이 낄 수 없음)


3. 야매

 

접두사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헛살다, 맨손, 새신랑, 헌신짝, 맏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