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5(final) : 가전

머니코드17 2020. 7. 16. 09:44
728x90

확대하시면 글자가 보입니다. (pc의 경우 ctrl+스크롤)

가전

정의

사물을 역사적 인물처럼 의인화하여 가계, 생애, 성품, 공과 등 전기 형식으로 쓰는 한문 양식

전계 소설의 형성
(번호순)

1. 사전(열전) : 사관이 객관적으로 쓴 공식적 인물의 공식적인 전기

2. 家전(私전) : 사적 입장에서 개별적으로 서술한 항간 인물에 대한 전기

3. 탁전 : 자신의 이야기를 가상인물에 의탁해 우의적으로 쓴 자서전

이규보, <백운거사전>

이규보가 벼슬하기 전 젊은 시절 쓴 것으로 풍류를 아는 자신의 모습

4. 假전 : 동식물을 등장시켜 인격을 부여시켜 가장 소설적 허구성이 강함

가전체, 의인전기체, 의인소설(갈등구조 등 소설적 구성은 부족해서 소설로 부르기는 부적절)의 이칭이 있음

주로 고려시대 작품 : 고려 서사가 가전 말고 딱히 없음

의인소설 : 가전, 우화소설
풍자소설 : 가전, 몽유록(우언성)

특징

삽화

삽화적 구조이지만 삽화 사이의 연관성은 없음

삽화들은 모두 중국 인물들의 고사 : 소재와 관련되지만 상호 연대적 관련은 없음

동식물, 사물이 인간에게 미치는 공과를 한 인물의 입전형태로 설명

사물에 대한 새로운 관심 : 가전, 경기체가(사물을 나열)

논찬부

끝에 교훈적인 평이 있음
=인간이 추구해야 할 도덕적 진실성, 규범적 인간사상

앞의 행적부분은 객관적인데 반해 논찬은 (사관 신분으로 입전인물을 가치평가하는)서술자 개입이 분명히 드러남

'전'은 실재인물 사실기록 양식이므로 허구의 개입이 초래한 진실성의 약화를 사관의 논평으로 보상하려는 의도

전개

기원

차이나 first. 단 가전 양식까지는 아니고 사물 의인화의 시초

당나라 문인 한유 <모영전>

코리아 사물 의인화 first : 8세기 설총 <화왕계>

고려

임춘

국순전

술(부정적)

공방전

엽전

이규보
(정치관련성 높음)

국선생전

술(긍정적)->아들들이 트롤짓

청강사자현부전

정치에 드나드는 거북이

이곡

죽부인전

대나무(절개)

식영암

정시자전

지팡이

이첨

저생전

종이(긍정적)

모두 의인 대상이 사물
중국 고대 배경
신진사대부의 사물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식적인 관심=가전창작동기
(사물과 관념을 긴밀하게 결합)
(임춘, 이규보
(정치관련성 높음), 이곡, 식영암, 이첨)

조선

가전 창작 쇠퇴 -> 대신 사람의 마음을 의인화한 심성가전 발달

추가 참고: 남영전(남靈전)

임제

수성지

근심이 주인공->술이 구해줌

화사

천군연의, 천군본기, 심사, 천군실록, 의승기, 김우옹의 천군전 등 천군계 가전

천군이 주인공으로, 충신과 간신의 대립과 갈등을 통해 평정이 이루어진다는 내용 (마음의 나라)

가전이 쓰기 어렵고, 중국 설화를 잘 알아서 오마주할 수 있는 지식인으로 향유층(소수 사대부 문인) 제한

난삽한 전고, 현학적 기상에 의존, 현실 체험과 유리된 가공성, 고답적 관념 추구에 골몰

조선 후기에는 표현의 묘미만 찾고 사물과 인간의 도를 구하는 정신이 약화

여용국전

화장품

당시 화장문화 기록

관자허전

화왕전

오원전

남영전(남靈전)

추가 참고: 가전 창작 쇠퇴 -> 대신 사람의 마음을 의인화한 심성가전 발달

18~19세기 후대 작품

심성가전=담배가 구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