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소 5

'것, 만큼, 때문'은 무슨 품사일까? : 의존명사

명사를 구분하는 기준 중 하나는 '해당 명사가 문장 내에서 다른 말의 도움 없이 쓰일 수 있느냐'입니다. 이에 O라고 답하는 명사는 '자립명사'입니다. 자립명사인지 알아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들을 다 치워버려도 문장이 말이 되면 그 명사는 자립명사입니다. 어제 먹은 과자가 아직도 소화가 안 됐다. >> 관형사절을 생략해도 의미가 통함 >> '과자'는 자립을 할 수 있으며 자립명사 이제 이 글에서 중요한 것, 아까 말한 기준에 X라고 답하는 명사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들을 치워버리면 문장이 비문이 됩니다. 어제 먹은 것이 아직도 안 나왔다. (윽) >> 관형사절을 생략하면 문장이 비문이 됨 >> '것'은 자립을 못하며 의존명사 이번엔 의존명사의 다양한 표본들..

대학생활&공부 2020.08.02

한자어의 형태소 분석? 한 글자씩?

가르치는 곳에서 한자어의 한자 하나하나가 표의문자니까 형태소로 친다고 설명하면, 그곳에서 치는 시험에서는 그게 맞습니다. 아직 국어학계에서도 논란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학교 문법에서는 형태소 분석 문제를 출제할 때 주로 고유어를 냅니다. 다만 국립국어원에서는 '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독자적인 의미가 있는 한자어에 한해' 하나의 형태소로 인정을 한다고 합니다.

대학생활&공부 2020.06.15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석

기계인 형태소 분석기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목적 : 문장 내에서 형태소 간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함. 1.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계열 관계란? 같은 문법적 성질을 '갖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문장 내에서 각각의 형태소로 생각되는 부위를 문법적으로 비슷한 다른 말로 바꿔보세요. 꽃 계열 이 계열 예쁘 계열 다 계열 꽃 이 예쁘 다 너 마저 곱 다 날씨 까지 뜨겁 네 실생활에서 자주 쓰던 방식이죠? 이걸 "형태소의 계열 관계로 분석해본다" 라고 합니다. 2. 형태소 분석의 통합 관계 통합 관계란? 서로 결합해서 더 큰 언어 단위를 만들 수 있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더 쉬운 말로 하면 다른 말이 사이에 낄 수 있는지 여부. 껴봐서 들어가는 자리가 형태소의 경계입니다. 꽃 이 예쁘 다 만 겠..

대학생활&공부 2020.06.14

형태소를 보는 2가지 관점

1. 자립하느냐를 두고 싸우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구분 관점 2. 의미의 주를 담당하느냐 부를 담당하느냐를 두고 싸우는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어휘 형태소/문법 형태소) 구분 관점 1.에 대해서는 앞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 2020/06/08 - [대학생활&공부] -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자립형태소다. 사실 의존명사+자립명사=명사 전체가 자립형태소다. 자립형태소의 '자립'은 그 형태소 그대로가 문장에서 떨어져 나와도 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자립형태소�� ojwisscary.tistory.com 2. 실질 형태소(=어휘 형태소)는 의미의 주를 담당합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1.에서의 자립형태소 전부) 동사, 형용사의 어근..

대학생활&공부 2020.06.08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자립형태소다. 사실 의존명사+자립명사=명사 전체가 자립형태소다. 자립형태소의 '자립'은 그 형태소 그대로가 문장에서 떨어져 나와도 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자립형태소가 '자립'하는 경우를 알아보자.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얘네들은 자립명사이다. 모두 문장 내에서 띄어쓰기를 통해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를 자립의 또다른 설명이라고 봐도 되겠다. 다음은 의존형태소이다. 조사, 동사, 형용사와 그 구성 요소(어근+접사 or 어간+어미) 이들은 모두 문장에서 따로 떨어져 나오지 못한다. 다들 어딘가에 붙어 있다. 조사는 당연히 체언 등 뒤에 띄어쓰기도 못하게 찰싹 붙어있고, 동사와 형용사는 이 둘이 '활용'한다는 점을 떠올리면 쉬울 것이다...

대학생활&공부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