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15

교육심리학)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기법

출처 : 교육심리학 4판 (신명희 외 8명), 학지사의 내용을 재구성하였습니다. 창의성은 (1)인성발달, 정신건강에 중요 (2)정보 습득에 중요한 역할 (3)일상적/전문적 문제에 지식을 적용시켜줌 (4)사회발전의 이유 때문에 중요하다.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의 초기 논의들은 대부분 지능에 초점 다요인이론학자 길포드 : 내용/조작/산출의 3차원 중 조작 차원-'확산적 사고'의 측정 척도 유창성 : 응답 개수 유연성 : 응답 다양성 (응답들이 같은 카테고리 안에 속해 있으면 다양성 낮음-벽돌의 쓸모를 물어봤을 때 '던지기 놀이, 격파 놀이') 독창성 : 응답의 개성 (일반적으로 다른 응답자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응답) 정교성 : 아이디어를 세심하게 발전시키는 능력 문제에 대한 민감성, 문제의 재정의 능력 이 4..

대학생활&공부 2020.05.05

교육심리학) 지능이론

출처 : 교육심리학 4판 (신명희 외 8명), 학지사 내용을 재구성하였습니다. 지능의 의미 지능이란 : 추상적 사고를 수행하는 능력(Terman), 진실 혹은 사실의 관점에서 (외부의 자극에)훌륭하게 반응하는 능력(손다이크-행동주의), 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의 환경을 효율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총체적 능력(Wechsler-지능검사 개발자) 지능 3대 논쟁 단일(일반)요인이론 "지능=1개 요인"(Charles Spearman) vs 다요인이론=여러 하위 능력들이 포함된 복수의 능력인가 "지능은 여러 개의 기본 정신능력으로 구성된다"(Louis Thurstone, Guilford) vs 다중지능이론 "지능의 하위 속성은 서로 별개의 능력이고, 각 능력은 고유한 영역이다"(Robert St..

대학생활&공부 2020.05.05

교육심리학 - 도덕성 발달이론(피아제, 콜버그, 길리건)

도덕성 발달 :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되는 옳고 그름의 개념을 익혀가는 인간발달의 과정 (정신분석학 : freud-‘남근기’ 욕망/충동 억제, 부모 행동/가치기준 내면화 -> 초자아(도덕적으로 옳고그름을 판단)를 형성) (행동주의 : 고전적/조작적 조건형성, 모델링의 결과=도덕성 행동) (인본주의 : 타고난 선을 자연스럽게 키워감으로써 자아실현) (인지주의 : 인지적 추론 강조, ‘도덕성이란 도덕적 갈등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개인의 능력)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 5~13세 스위스 아동 임상 인터뷰 “좋은의도컵15개vs나쁜의도컵1개” 전도덕성 단계 (~4세) : 인터뷰 실시 대상이 아님 타율적 도덕성 단계 (5~9세) : 규칙과 질서를 수정할 줄 모르고 절대신봉, 행동의 결..

대학생활&공부 2020.04.13

교육심리학) 성격발달과 사회성 발달이론

성격발달 : 개인을 독특하게 만드는 여러 특성을 습득하는 인간발달의 과정이며, 한 개인의 성격은 행동을 통해 조망할 수 있다. 사회/정서적 발달(사회성 발달) : 타인과 상호작용하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이해하는 인간발달의 과정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프로이트는 성인 정신병 환자들의 최면치료, 자유연상법 등에서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발달이론을 완성한다. - 정신결정론 : 인간의 외적인 행동, 감정, 생각은 정신 내적의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 인간의 심리현상과 행동은 주로 본능과 욕구가 내재해 있는 무의식에서 비롯된다. 성격발달에서 유아기(~5세까지)의 경험이 중요하다. - 원초아(id) : 원초적 본능 - 본능적 욕구(추동, 충동) : 어떠한 행동을 추진하게 만드는 무의식적인 동기 - 초..

대학생활&공부 2020.04.06

교육심리학)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인지 : 인간의 지적 능력, 사고, 개인이 정보를 지각하고 이해하며 평가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가. 개념 인간의 인지는 환경(외부세계)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발달 도식(스키마) : 인간의 머릿속에 저장된 외부 세계에 대한 정신적 표상, 지식 또는 행동 유형 인간은 도식(스키마)를 통해 세상을 이해함 조작 : 논리적인 정신작용 ‘구체적 조작기’부터 논리적인 정신작용 발달 도식(스키마)는 적응(동화+조절)과 조작을 통해 형성됨* ‘꼬마 과학자로서의 아동’, 개인적 구성주의 강조(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지 않음) 수평적 격차 : 모든 영역에서 인지적 능력들이 동시에 발달하지만, 다양한 영역에 전파되는 데는 시간이 소요 *동화, 조절, 평형화 동화 : 새로운 정보를 ..

대학생활&공부 2020.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