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교육심리학 - 도덕성 발달이론(피아제, 콜버그, 길리건)

머니코드17 2020. 4. 13. 13:32
728x90

 

도덕성 발달 :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되는 옳고 그름의 개념을 익혀가는 인간발달의 과정

(정신분석학 : freud-‘남근기’ 욕망/충동 억제, 부모 행동/가치기준 내면화 -> 초자아(도덕적으로 옳고그름을 판단)를 형성)

(행동주의 : 고전적/조작적 조건형성, 모델링의 결과=도덕성 행동)

(인본주의 : 타고난 선을 자연스럽게 키워감으로써 자아실현)

(인지주의 : 인지적 추론 강조, ‘도덕성이란 도덕적 갈등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개인의 능력)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아동의 도덕적 판단>

- 5~13세 스위스 아동 임상 인터뷰 “좋은의도컵15개vs나쁜의도컵1개”

전도덕성 단계 (~4세) : 인터뷰 실시 대상이 아님

타율적 도덕성 단계 (5~9세) : 규칙과 질서를 수정할 줄 모르고 절대신봉, 행동의 결과만으로 판단, 인지적 미성숙(타인 관점 이해 불가=모두가 동일한 관점을 가졌다고 생각) -> “15개 깬 아이가 더 나쁘다”

자율적 도덕성 단계 (10세 이후) : 협력의 도덕성, 아동의 인지발달, 성인의 통제로부터 점진적 해방, 활발한 또래 상호작용, 규칙은 고정되지 않고, 다수의 합의 따라 변형 가능한 유연한 원칙이라고 생각 -> “나쁜 의도를 가진 1개아이가 더 나쁘다”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적 판단 임상법 : 도덕적 딜레마 제시하고 자신의 결정을 정당화해서 해결시키는 것

도덕적 의사결정(정당화)을 하게 하는, ’도덕적 추론‘에 초점

사용 딜레마 : ’하인츠 딜레마 – 약사, 아내 아픈 하인츠‘

 

아동의 도덕발달 3수준 6단계

가. 전 인습적 수준 (1~2단계)

옳고 그름의 내재화된 기준이 없는 자기중심적 경향

좋은(나쁜) 행동은 자신에게 보상(처벌)이 오는 것

1단계 : 복종&처벌지향 단계 : 복종과 처벌만 신경 씀

2단계 : 개인적 쾌락주의 지향 단계 : 도구적 상대주의(주관적, 규칙은 자신에게 이익일 때만 지킴)+거래, 협상 개념

 

나. 인습적 수준 (3~4단계)

옳고 그름의 사회적 관습을 무비판적으로 수용

가족의 기대, 법, 사회적 요구 중요시

3단계 : 착한 소년/소녀 지향 단계 : 타인을 기쁘게 해주는 행위가 선

4단계 : 사회질서/권위 지향 단계 : 법, 의무 등 혼란을 막는 사회질서가 선

 

다. 후 인습적 수준 (5~6단계)

사회계약과 보편적 윤리에 근거

원리에 의거한 규칙을 대체로 따르나 수정, 무시의 가능성을 인정

5단계 : 사회적 계약 지향 단계 : 사회적 유용성에 따라 법이 바뀔 수도 있음 (ex. 인간 생명>개인 재산권)

6단계 : 보편적 윤리 원리 지향 단계 : 스스로 택한 도덕원리(생명의 신성함,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등)에 따른 양심적 행위=선. 소수(성자급)만이 이 수준에 도달

 

이 도덕성 발달수준의 진단은 평정자의 주관적 판단에 크게 의존

도덕성 발달수준은 도덕적 판단 자체까지 오게 된 ’사고 내용‘이 결정함.

 

콜버그 이론의 교실에서의 시사점

가. 아동의 연령과 인지적 수준에 따른 도덕교육 방법의 구체적 행동지침 제공 -> (도덕성 수준을 높이는)도덕교육의 방향, 내용 결정에 근거 제공

나. (자신보다 상위 수준 동료의 도덕적 추론을 배우는)토론식 도덕교육 제안

다. 발달단계를 제시하여 더 높은 단계의 도덕성 발달을 가능하게 함 (더 높은 지향점 가시화)

라. 모델링(시범)을 활용한 도덕성 발달을 권장

마. 도덕교육에 역할극 활용 가능성 제시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해봄)

 

콜버그 이론의 비판점

가. 도덕적 행동<<추론 (추론의 도덕성 수준이 높더라도 실제 행위는 달라질 수 있음, 스탠리 밀리그램의 전기충격 실험. 높은 수준 도덕적 사고를 하는 사람 중에서도 전기충격을 끝까지 주는 사람이 ’있긴 있다‘)

나. 모든 문화에 도덕성 발달단계 수준이 적용되지 않음(어떤 문화에서는 낮은 도덕성 수준이 어떤 문화에서는 고평가되기도 함)

다. 도덕성 발달단계 수준이 여러 단계에 걸쳐서 나타날 수 있음

라. 주로 남성 중심적

 

콜버그 이론의 주요 연구 결과

가. 모든 사람의 도덕적 추론능력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써 발달

나. 도덕적 추론능력의 발달속도는 개인차 있음

다. 도덕성 발달은 점진적, 지속적

라. 특정 단계 도달 시 퇴보하지 않고, 주로 그 단계에서 도덕적 추론을 시행

마. 교육적 개입을 통해 바로 다음 도덕적 추론단계로만 진입시킬 수 있음

 

3. 길리건의 배려의 윤리 <다른 목소리로>

배려의 윤리 : 타인에 대한 배려, 연민, 동정심, 유대감 등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도덕성 개념

추상적 판단에 기초한 정의 관점(남성) vs 인간관계와 타인을 돌봄에 기초한 배려, 책임감의 관점에 기초한 관점(여성)

여성의 도덕성 발달단계(3수준, 각 단계 간 2개의 전환기) 제시 : 낙태 여부를 결정하는 29명의 여성 응답 분석

여성의 도덕적 사고의 특징 : 인간에 대한 책임 강조, 타인의 요구에 민감, 타인과의 관계 고려

 

가. 자기지향

자신의 이익, 생존에 몰두

자기 욕구와 갈등되는 상황에서 도덕적 사고 및 추론을 함

어느 쪽이 나에게 중요한가?

 

전환기1 : 이기심->책임감(+타인과의 관계)

 

나. 자기희생으로서 선

사회적 조망능력 발달

자신의 욕구 억제, 타인 배려, 책임감, 자기ㅡ히생

타인(사적 관계)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자기주장 포기

 

전환기2 : 선->진실(+희생의 이유, 더 넓은 범위에서의 타인들 인식)

 

다. 비폭력 도덕성

개인의 권리 주장과 타인에 대한 책임의 조화

비폭력, 평화, 박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