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제 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네~
이건 안다 치더라도, 자주 헷갈리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저녁밥은커녕
저녁밥은 커녕
둘 중 뭐가 맞는 띄어쓰기일까?
'저녁밥은커녕'이 될 경우 '저녁밥'은 확실한 명사이고, 뒤에 띄어쓰기 없이 바로 붙는 '은커녕'은 한글 맞춤법 41항에 따라 앞말에 붙여쓰는 조사가 됩니다.
그리고 '저녁밥은 커녕'이 될 경우 '은'까지만 (보)조사 이고 '커녕'은 띄어쓰지 않아 조사는 아닌 독립 단어가 됩니다. 무슨 품사일까요? 부사...? 보조용언...?
결론부터 말하자면 표준국어대사전 가라사대
원리를 알아보자면,
1. '커녕'의 계열 관계 분석 : 저녁밥은( ) 에서 ( )자리에 '커녕'을 대체할 단어가 없음
2. '커녕'의 통합 관계 분석 : 은, 커녕 사이에 들어갈 단어가 없음
3. 따라서 은, 커녕은 형태소 경계를 구분지을 수 없는 한 단위임 >> '은커녕'으로 써야 함
4. '저녁밥'이란 체언(명사) 뒤에 띄어쓰기 없이 바로 따라오는 '은커녕'은 조사임 (저녁밥 은커녕 으로 띄어쓸 순 없으므로)
이렇답니다.
국어대사전을 보여줬더니 "사전은 왜 이렇게 쓴건데요"하고 물어보는 아이를 납득시키기 딱 좋겠죠.
아이가 혹시 계열관계, 통합관계를 모른다면 이 글을 보여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
기계인 형태소 분석기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목적 : 문장 내에서 형태소 간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함. 1.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계열 관계란? 같은 문법적 성질을 '갖는 말들' 사이의 관계
ojwisscary.tistory.com
비슷한 사례로 'YAMALO'가 있습니다.
무슨 차 이름같네요.
청춘이야말로 인생의 황금기다.
청춘이야 말로 인생의 황금기다.
1. '말로'의 계열 관계 분석 : '말로'를 '만'으로 대체할 수도 있음 (청춘이야만 인생의 황금기다)
2. '말로'의 통합 관계 분석 : 청춘이야, 말로 사이에 들어갈 만한 단어가 없음
3. 이야, 말로 사이에 형태소 구분을 매끄럽게 지을 수가 없음(계열관계는 형태소구분이 된다 하고, 통합관계는 안된다 하니...)
4. 보통 매끄러운 형태소구분이 안 될 때는 그냥 형태소 경계가 없다고 퉁쳐버립니다. >> '(이)야말로'는 한 단위입니다. '청춘'이라는 체언(명사) 뒤에 '이야말로'가 띄어쓰기 없이 바로 따라오므로 '(이)야말로'는 조사입니다.
다음 글은 '아는것이 힘이다', '아는 것이 힘이다' 중 누가 맞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문헌 : <현대국어형태론>, 황화상, 지식과교양
'대학생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가라, 나의 캠퍼스 라이프여! (0) | 2020.08.16 |
---|---|
'아는것이 힘이다'?, '아는 것이 힘이다'? :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 (0) | 2020.08.16 |
일주일 동안 아무것도 못 한 이유 (0) | 2020.08.08 |
'것, 만큼, 때문'은 무슨 품사일까? : 의존명사 (0) | 2020.08.02 |
서술성이 있는 명사 (0) | 202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