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활용 3

불규칙 활용 문제를 푸는 행동 시퀀스

'태극기를 달다'에서 동사 '달다'는 불규칙 활용한다. 맞을까요 틀릴까요? - 어... 달다, 다니, 다세요... 맞는거 같은데? 흔히 이런 식으로(수능 객관식 선지가 특히) 불규칙 활용을 묻는 문제가 나옵니다. 학교 국어 수업에 졸지 않았다고(불규칙 활용이 뭔지 개념적으로 알고 있다고) 해도 예시 용언을 하나 던져놓고 그것이 불규칙 활용하냐 진위여부를 판단하라고 하면 잠시 뇌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뇌절.....아니 뇌정지 순간이 올 때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문제 용언이 불규칙 활용이 되는 양상을 상상해본다. (참고로 용언 = 동사+형용사) 2. 그 양상이 어간이 바뀌는 양상인지, 어미가 바뀌는 양상인지 판단한다. 3. 알고 있는 (어간 또는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 활용 종류..

대학생활&공부 2020.09.06

마의 불규칙 활용

국어 불규칙에 대해 도저히 감을 못 잡겠다면! 다음 신조(creed)를 알고 계시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될 것입니다. '불규칙' 활용이라 부르는 이유는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다르게 읽히고 소리나는 '돌연변이 특정 단어'가 있어서다. 불규칙 '활용'이니까 용언 어간과 어미에서만 해당 현상이 발생한다. 어간이 뭔지 모르겠다면? 어간, 어근 구분 왜 쓸데없이 글자는 비슷해가지고... 간단히 말해서, 어간과 어근은 분석할 때가 다릅니다. 마치 명사/동사/부사 같은 품사와 주어/목적어/서술어 같은 문장성분을 부르는 때가 다르듯이... 어간� ojwisscary.tistory.com 다음은 모든 불규칙 종류를 개략적으로 빠르게 훑어보는 타임입니다. 꽤 많은 종류가 있지만 이것 역시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

대학생활&공부 2020.07.19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석

기계인 형태소 분석기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목적 : 문장 내에서 형태소 간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함. 1.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계열 관계란? 같은 문법적 성질을 '갖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문장 내에서 각각의 형태소로 생각되는 부위를 문법적으로 비슷한 다른 말로 바꿔보세요. 꽃 계열 이 계열 예쁘 계열 다 계열 꽃 이 예쁘 다 너 마저 곱 다 날씨 까지 뜨겁 네 실생활에서 자주 쓰던 방식이죠? 이걸 "형태소의 계열 관계로 분석해본다" 라고 합니다. 2. 형태소 분석의 통합 관계 통합 관계란? 서로 결합해서 더 큰 언어 단위를 만들 수 있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더 쉬운 말로 하면 다른 말이 사이에 낄 수 있는지 여부. 껴봐서 들어가는 자리가 형태소의 경계입니다. 꽃 이 예쁘 다 만 겠..

대학생활&공부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