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44

교육심리학) 성격발달과 사회성 발달이론

성격발달 : 개인을 독특하게 만드는 여러 특성을 습득하는 인간발달의 과정이며, 한 개인의 성격은 행동을 통해 조망할 수 있다. 사회/정서적 발달(사회성 발달) : 타인과 상호작용하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이해하는 인간발달의 과정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프로이트는 성인 정신병 환자들의 최면치료, 자유연상법 등에서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발달이론을 완성한다. - 정신결정론 : 인간의 외적인 행동, 감정, 생각은 정신 내적의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 인간의 심리현상과 행동은 주로 본능과 욕구가 내재해 있는 무의식에서 비롯된다. 성격발달에서 유아기(~5세까지)의 경험이 중요하다. - 원초아(id) : 원초적 본능 - 본능적 욕구(추동, 충동) : 어떠한 행동을 추진하게 만드는 무의식적인 동기 - 초..

대학생활&공부 2020.04.06

교육심리학)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인지 : 인간의 지적 능력, 사고, 개인이 정보를 지각하고 이해하며 평가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가. 개념 인간의 인지는 환경(외부세계)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발달 도식(스키마) : 인간의 머릿속에 저장된 외부 세계에 대한 정신적 표상, 지식 또는 행동 유형 인간은 도식(스키마)를 통해 세상을 이해함 조작 : 논리적인 정신작용 ‘구체적 조작기’부터 논리적인 정신작용 발달 도식(스키마)는 적응(동화+조절)과 조작을 통해 형성됨* ‘꼬마 과학자로서의 아동’, 개인적 구성주의 강조(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지 않음) 수평적 격차 : 모든 영역에서 인지적 능력들이 동시에 발달하지만, 다양한 영역에 전파되는 데는 시간이 소요 *동화, 조절, 평형화 동화 : 새로운 정보를 ..

대학생활&공부 2020.03.28

서양교육사 - 고대 교육 2 ~ 중세 교육 1

• 로마 교육 퀸틸리아누스 -세계최초 정교사 -타고난 성선을 발전시켜 웅변가 양성 중시 -> 체계적 과학적인 최초의 교육저서 '웅변교수론' -체벌부정론(회초리 안돼) -개성 존중(흥미중심, 아동존중) -흥미와 유희 중시 -교사론(교사선택의 중요성=교사는 이래야 한다) 중세 교육 2-1. 중세 전기 교육(서로마제국멸망476~11세기) 종교교육(기독교 교육) 주요 특징-주정주의, 내세주의, God중심주의, 세계주의 학교제도... -(예비)문답학교 Catechumenal School : 이교도or무세례 어린이에게 예비 기독교 교육 후 세례. 2~3년. 고등반 사회교육적 기능의 수행(한국교육사의 향교) 초등에서 고등까지를 포함(한국교육사의 경당) 2-3. 교부철학(아우구스티누스)과 교육 -엄벌주의. 교사는 외부..

대학생활&공부 2020.01.23

서양교육사 - 고대 교육 1

1. 고대 교육 • 원시 교육 - 문자사용 이전 : 비형식적 생활(수렵, 종교의식, 토템숭배, 성년식, 부족 전통, 금기, 규칙...)을 경험과 모방을 통해 학습 - 문자사용 이후 : 기원전 4000 ~ 상류층 자녀들이 한가(희랍어 schole)를 선용하기 위해 형식적 학교교육 학교라는 형식은 있었으나, 유목적적 기능(의도적 기능)은 없었음. 자유로운 대화 중심. • 그리스(아테네, 스파르타)의 교육 -아테네 : 지혜인, 지육, 개성중심, 자유주의, 교사가 교육, 솔론 헌법, 여자교육 경시 -스파르타 : 행동인, 체육, 군사교육, 선배 청년들과 군인이 교육, 리쿠르구스 법전, 여자교육 중시 국가방위에 용감하고 애국심 있는 시민의 양성(공통점) -전기 아테네 교육 : 페르시아 전쟁(기원전 500년경)이전,..

대학생활&공부 202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