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교육과정 : 쓰기
선택 교육과정 : 화법과 작문
작문교육의 목표 : (상대적으로 미숙한 필자인 학생의) 작문능력 신장
작문교육의 기본 구조 : 유능한 필자의 인지적(심리적) 행동특성을 발견하고 분석(분해)하여 미숙한 필자에게 지도하는 것
-
인지능력을 분해 -> 기능, 전략들이 기본 단위
-
심리적 작용에서 행동특성을 발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견이 어렵다. 한다 해도 추론이다. 추론보다 정밀한 방법은 유능한 필자로 하여금 생각하는 내용을 말하게 하는 방법인 '사고구술(think-aloud)'을 확인하는 것이다.(1978년에 나온 대체 불가능한 혁신적인 method)
-
사고구술이 쓰이는 곳 3가지
-
유능한 필자의 행동특성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태초에 고안되었다.
-
교수 전략으로도 쓰인다.
-
평가 방법으로도 쓰인다.
-
곧 사고구술은 독서와 작문 교육을 떠받치고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작문(쓰기) 영역=교육과정+수업방법+평가+교재(교육과정(무엇을 가르칠것인가?)>방법(어떻게 가르칠것인가?)>평가>교재 순으로 중요)
-
교육내용(유능한필자의 행동특성)을 중요도(교육과정 개정에도 불구하는 항상성)에 따라 선정하고 조직(배열)한 것이 교육과정
-
선정 : 유능한 필자의 행동특성을 발견하고 분석하면 전략/기능이 기본 단위인데, 이들 중에서 중요도를 따져 교육내용을 선정
-
조직(배열) : 초1~고1 공통교육과정, 고23은 선택 교육과정으로 수능에 출제
-
배열의 원리로서 나선형 교육과정 : 독서의 '중심내용 파악하기'처럼 항상성을 지니는 중요한 행동특성은 초1, 중1, 고1 등 텍스트 난도(문종, 장르, 텍스트 유형의 차이... )를 달리하면서 주기적으로 배치. 따라서 학생은 어릴 때 '중심내용 파악하기'를 쉬운 과제(미괄식 글)로 훈련하다가 중심내용이 불분명한 논설문 등을 고등학교 때 읽으며 '전략으로서는 유용한' 중심내용 파악하기 실력을 증강시킴
-
작문에서 유능한 필자의 행동특성 중 하나인 '중심문장 쓰기' : 글은 서사문<<논설문 순으로 쉬우므로 어릴땐 1인칭 시점의 서사문(오늘 있었던 일)의 중심문장을 쓰게 하고 고등학교 때는 논술에서 중심문장을 쓰게 함
-
배열의 실전 : 타 과목처럼 학년군별 전략을 분절적으로 배열을 요구받고 있으나 본질적 원리는 나선형
-
교재 중 공식적으로 채택된 것은 교과서
-
교육 내용의 제시, 재현 기능
-
있으면 학생의 편의를 도와줌
-
교사 기능을 포함
-
가장 덜 중요해서 교사의 권위와 의존성을 극대화한 교재없는 수업이 가능
-
교사가 곧 교재. 교사가 없고 교재만 있으면 수업이 안 되니까
-
반대 척도에는 교재에 학습의 안내장치 등 교사 기능이 구현되어 교사가 필요없어지는 자율(자기주도)학습 교재도 있음
-
좋은 교과서로 보통 자율학습이 가능한 교과서를 꼽음
-
전자교과서 등
-
두 극단적 척도 사이의 영역=현실적 교육 영역(비고츠키 개념에 빗댐)
-
여기에서 교육이 이루어진다.
-
(수업)방법은 교수학습 방법
-
평가 : 다른 영역(독서 등)보다 작문 영역에서 평가가 유독 중요
-
작문 평가=주관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평가가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큼
-
의도한 목표(성취기준)에 얼마나 도달했는가(성취수준이 얼마인가)?
-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differ
-
작문 버전) 학생들의 작문 수행(performance)가 목표에 도달했는가? 의 정보.
-
--> 학생들의 작문수행에 관한 정보를 (훈련받은 전문가=국어교사가) 수집하는 전문적 활동
-
정보수집의 목적 : (교육적) 의사결정 (ex. 성적부여, 유급, 졸업, 입학, 이후 평가의 방침 수정 등)
-
어떤것은 도달했고, 어떤것은 도달 안했고...
-
채점하고, 점수로 환산하여, 기록한다.
-
생기부의 교과세특이 좋은 예임
-
"교육적 의사결정을 위해 학생이 목표에 도달했는지의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평가가 곧 정보수집이다."
-
작문 평가 도구와 방법
-
도구 : 주로 시험지(검사지)
-
평가 도구의 양호도(건전한지, 양호한지)
-
양호도 측정의 척도
-
타당도 :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는가?
-
신뢰도 : 평가로 얻어낸 점수가 일관성 있으며 안정적인가?
-
객관도 : 평가자의 (내적/평가자 간) 신뢰도-일관된 반응, 좁은 변동의 폭이면 평가자 신뢰도가 좋은 것
-
유용도(실용도) : 비용대비 효과
-
방법
-
1차원 : 종류에 관한 것
-
직접 평가
-
간접 평가 : 직접 평가의 비용이 클 때. 수능에서 대량의 수험생에 대해 객관식으로 '작문능력'을 평가하는 것
-
과정 평가
-
사고 구술
-
결과 평가
-
채점 : 학생 글에 대한 점수의 부여.
-
평정
-
2차원 : 실행 방법에 관한 것
'대학생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성적 겸 과목리뷰 (0) | 2021.07.22 |
---|---|
계절학기 : 국어사 (0) | 2021.07.12 |
중세국어문법론 한문장 요약 - 제1편 총론 (0) | 2021.03.06 |
24학점 (0) | 2021.01.29 |
ACE+ 학생 만족도 조사 안내 (0)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