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2 : 가정소설(가문소설과 다름)

머니코드17 2020. 7. 11. 09:34
728x90

확대하시면 글자가 보입니다. (pc의 경우 ctrl+스크롤)

가정소설

정의

당시 지배적 교훈(삼강오륜, 가정윤리 등)을 강조
=당시 소설 긍정론의 선봉장

작품 배경 : 가정내
작중인물 : 가족구성원
사건 : (윤리적 문제)효성, 정절, 우애, (반윤리적 문제)계모자간 갈등, 부자간의 알력, 처첩갈등, 형제불화 공존
주제 : 건전한 가정도덕

송사소설도(공안류) 다수
(예 : 장화홍련전)
송사소설 관점에서 가정소설, 우화소설도 송사를 포함함

형성

기원 : 중국 '열녀전'
=삼강행실도 열녀편, 내훈 등 여성교훈서 수록

훌륭한 여인상을 소설적 주인공화 = 사씨남정기

유형

계모형 소설

전실자식vs계모

상당수, 후대의 신소설까지 생명 지속

대표작품

장화홍련전

추가 참고: 콩쥐팥쥐전 (후대에 창작됨), 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전체)

계모의 간계로 억울하게 죽은 장화홍련의 원혼이 부사 정동우에게 읍고, 원수갚기

평안도 철산지방 설화가 소재

효종시기 철산부자 전동흘이 겪은 사실을 소설화

사실을 기록한 한문본은 국문본보다 단순함

송사소설의 일종

이본

장화홍련이 3째 부인의 쌍둥이로 다시 태어나는 재생담 있는것/ 없는것

인쇄본(목판본+활자본) : 재생담 있음, 늦게 등장
(인기있어서 추가됨)

김인향전

추가 참고: 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전체)

계모의 흉계로 죽은 인향 자매가 안주부의 공처에 나타나는 송사소설

콩쥐팥쥐전

추가 참고: 장화홍련전 (후대에 창작됨), 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전체)

구활자본 2종만 현존, 설화 <콩쥐팥쥐 이야기>는 많은 각편 현존

설화로 먼저 전하다 소설화

정을선전

계모 노씨vs유추년
유추년-을선 결혼, 억울사망, 추년 부활

송사소설

후반 조부인vs추년(유부인) 갈등을 을선이 해결

황월선전

추가 참고: 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전체)

보통 계모소설과 달리 계모 소생 '아들'이 계모의 전처딸 학대를 반대, 구출

김취경전, 어룡전 등

추가 참고: 비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일부) (어룡전만)

세부 분류

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전체)

추가 참고: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황월선전, 김인향전

비정격 계모형(계모담이 작품 일부)

추가 참고: 김취경전, 어룡전 등 (어룡전만)

특징

계모=악인

살인형

학대형

결말 : 계모 참교육, 계모 개과천선 (사필귀정, 권선징악)

가장의 부재/불민함(무능)이 주 원인 = 첩과 계모의 악행이 구체화되는 결정적 계기

가정소설의 가정내적 문제는 어느 개인의 선악만의 문제가 아님

쟁총형(처첩형)소설

부부간 애정정취 위한 처첩대립

세부 분류

처vs첩 갈등형

처vs후처 갈등형

대표작품

사씨남정기

김만중이 노모 위해 지은 국문소설
(조카 김춘택이 제주 유배시 국문 원본을 한역)

인기

한문필사본 : 상층 남성용
한글필사본 : 상층 여성용
방각본 : 서민용
=전 계층 인기

기존 체제를 공고히 하려는 사대부들이 교화적이라 하여 높이 평가

남주인공 '유연수' , 본처 사정옥, 첩 교채란

초기 가문소설로 분류되기도 함(처첩갈등-가문위기-해소 구조가 후대 영향)

루머

숙종 장희빈 인현왕후 폐위사건 비유?

긍정론 : 김만중 유배시기 일치
부정론 : 소설 유통상황

축첩제 모순비판? 옹호?

여성의 규범순종, 순응이 가정 평화 지름길이라는 주제의식은 한계점

교채란의 자리에 임씨를 대체시키며 축첩제를 유지(옹호)하며 마감

당대의 이중적 인식을 반영
(여성의 규범순종, 순응이 가정 평화 지름길이라는 주제의식은 한계점, 교채란의 자리에 임씨를 대체시키며 축첩제를 유지(옹호)하며 마감)

정진사전

창선감의록

옥린몽

여부인vs유부인=유부인 승리, 여부인 회개 해피엔딩

조생원전=(장학사전)

주인공 혜성
김부인vs후주 = 김부인 승

특징

첩=미인, 교언영색 요부, 정실한텐 착한척+기회적 간악성

예 : 사씨남정기의 교씨

첩/후처가 하수인과 모의하여 정실을 누명씌워 죽이거나 추방

창작 의도

여자들에게 경각심

남자들에게 축첩의 경각심

소설사적 위상

오래된 소설양식이다(가정문제)

계모+처첩갈등 : 가정 내 다양한 인간관계 문제

가정 밖 사건과의 관련성이 점차 커짐

가정과 가정의 연합

초기 가정소설의 특징을 가리기도 하나 가정의 성격을 통해 삶의 방식 구체화됨은 불변

신소설과의 연관성

개화기에도 가정 구성원에 대한 관습적 인식은 유지, 공감대 넓음

가문소설과의 선후관계

가정->가문 : 가문소설=조선후기 마지막 귀족소설(이수봉)

가문->가정 : 처첩갈등형 가문소설에서 처첩갈등형 가정소설 분화(이승복)
/규방소설에서 가정소설 분화(진경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