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1 : 가문소설

머니코드17 2020. 7. 10. 14:31
728x90

확대하시면 글자가 보입니다. (pc의 경우 ctrl+스크롤)

가문소설

이칭

국문장편소설, 대장편소설, 대하소설, 낙선재본 소설(낙선재에서 발견), 장편가문소설, 장편한글소설, 연작형 소설

규모

가정, 가정 간, 한 가정의 2~3대

2~3부작급 연작소설이 주류인 대하소설
장편의 국문소설. 70책 이상 작품 많음

연작(시즌2)형태 나타나기도 함. 최고 4부작까지
전편과 후편의 작가가 동일한지는 논란

내용

상층의 자기 가문의 창달

추가 참고: 주자학 재건과 가문의 재정비 필요로 <가례>, <여훈(여성 교양)>으로 자녀교육을 시키는 한편 산문으로는 훌륭한 조상의 사적을 언문 픽션으로 미화하여 출가하는 딸들에게까지 가문의 전통을 교육 (목적소설)

조선 후기 사회사적 배경 고려

상층 가문의 형제간,처첩간,가문간 갈등, 혼사,정책,출세장애 등 복잡한 구조
가문 계승권, 부부관계 갈등이 대표적

상층 친화적

보수성 : 기득권 옹호, 지배윤리 중시

당대 모순들, 통속적 재미, 유려한 문체에서 오는 지식
=상층 여성들의 교양 독서물

하층민의 관심은 얻지 못함

형성

17세기 중후반에 발생해 성행

17세기 권섭 엄마 용인 이씨가 <소현성록>필사
온양정시(1725-1799)가 <옥원재합기연의> 필사 - 권 14,15표지 이면의 소설 제목에 현전하는 국문장편소설 다수 = 18세기에는 이들이 널리 유포된 상태

양란 이후 전통양반-신생양반 반목, 당쟁으로 문란해진 도덕사회, 사대부 권위 약화, 실학사상

주자학 재건과 가문의 재정비 필요로 <가례>, <여훈(여성 교양)>으로 자녀교육을 시키는 한편 산문으로는 훌륭한 조상의 사적을 언문 픽션으로 미화하여 출가하는 딸들에게까지 가문의 전통을 교육 (목적소설)

추가 참고: 상층의 자기 가문의 창달, 전통 세도가문의 양반계급

허구성 : 자기 가문 말고, 중국의 아무 가문 등장

추가 참고: 거의 대부분 중국배경
(가문소설과도 공유하는 특징)

창작 원리

복수 주인공들의 단위담

각자의 이야기들을 구조적 반복원리에 따라 병렬적 나열

따로로도 이야기 성립되는 단위담을 활용하여 장편 구성

단위담 : 애욕추구담, 부부 성 대결담, 탕자개입담, 쟁총담, 시가 및 처가 박대담, 옹서 대립담 등

인물들의 다양한 일생을 장면화하여 교훈과 흥미 동시 제공

적강 화소, 영웅의 일생구조/ 군담요소, 변신 화소, 기연기봉요소, 갈등양상, 혼사장애요소

영웅군담의 경우 하층민도 좋아해서 영웅소설로 분리됨

갈등 : 충간신 갈등, 전후처 소생 갈등, 처첩갈등, 혼사장애

계모/처첩형 가문소설, 영웅군담, 애정소설을 망라
(적강 화소, 영웅의 일생구조/ 군담요소, 변신 화소, 기연기봉요소, 갈등양상, 혼사장애요소, 갈등 : 충간신 갈등, 전후처 소생 갈등, 처첩갈등, 혼사장애)

작가와 독자

작가

양반, 양반가 부녀자

상층 여성의 참여

상층 남성 중심 시각에 다른 차원으로 접근
유교적 가부장제 모순 파악

독자

전통 세도가문의 양반계급

추가 참고: 주자학 재건과 가문의 재정비 필요로 <가례>, <여훈(여성 교양)>으로 자녀교육을 시키는 한편 산문으로는 훌륭한 조상의 사적을 언문 픽션으로 미화하여 출가하는 딸들에게까지 가문의 전통을 교육 (목적소설)

궁중

주요 작품

창선감의록

조성기

선을 드러내고 의를 깨닫게 한대서 창선감의 = 매우 교훈적

이칭 : 화공언행록, 화씨효행기, 창선록, 화진전 등

개정증보판

화씨충효록->제호연록

한글본, 한문본 동시 존재, 필사본 260여종

이복동생이 장남에게 학대받으면서도 섬김->우애, 효도 주제

장남은 가문 계승을 해야해서 차마 망하게 둘 수 없었던 상층부의 시각 반영

소현성록

가문소설의 전범, 17세기 말 형성

소현성-소현성자녀-소현성손자 3대에 이르는 소씨 가문의 기반 구축-안정-번영과 창달

완월회맹연

정명도 후예 정한을 중심으로 두 아들의 결혼과정과 일부다처제발 갈등, 비극

악인에 대한 감화와 효도, 우애

임화정연

임씨가문의 혼인을 시기한 인물의 모함과 극복

유씨삼대록

유승상의 5남3녀 결혼담, 그중에서도 차남의 결혼담 중심

명주보월빙

남녀 주인공들의 끝없는 고난과 자기갱신의 순환구조

여성 : 하늘이 정한 배필과의 혼사 완성을 위한 고난

남성 : 전쟁영웅, 도덕적 성자, 둘다 겸비한 전인적 존재로서의 자기완성

3부작 연작 대하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