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공부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7 : 한문장편소설

머니코드17 2020. 7. 6. 08:43
728x90

한문장편소설

출현 배경

18세기 전반 <옥린몽>을 시작으로, 19세기 들어 사대부 작가들에 의해 한문장편소설 출현. 옥린몽은 사씨남정기와 유사하지만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과 더불어 조선후기 독자들에게 폭넓게 읽힘

작가층은 정치적으로 소외되고 장편으로 한문을 쓸 만큼 글을 잘아는 근기지방 사대부.

소설에 현실비판의식 표출
자신의 사회적 실천의 결핍을 새롭게 부상한 문학양식인 소설로 해소해보고자 함

그들 사이 직간접적인 교류도 있는것으로 보아 작품들이 동질적인 사회문화적 배경을 공유

주요 작품

김소행, <삼한습유>

숙종 7년 경상도 선산 실존사건 바탕
신라시대 인물로 설정해 결구

향랑이라는 여인이 시댁에서 핍박받아 친가로 피신하나 개가권유를 뿌리치고 투신해 죽은 이야기

이후 천상에서 향랑의 환생을 결정하기 위한 선현들의 논쟁

섬동지전과 같은 백과사전식 소설

후토부인의 도움으로 옥황상제 버프로 환생, 효령에게 개가
효령은 김유신의 오른팔로 삼국통일에 지대 공헌

향랑은 여성인데도 삼국통일에 결정적 도움을 줌

김소행의 약자 존중 시각

백성들에게 존경받으며 천수를 살다가 신선으로 승천

여성문제 관점에서 이해

당시 여성은 혼자 생활 불가하여 개가를 통한 남편 의탁을 이어나가던지 죽던지

향랑은 의탁할수 없으니 어쩔까란 노래 부르며 투신

남영로, <옥루몽>

구운몽과의 유사성

구운몽 3배분량=64편 장회소설

창작 동기

소실 조씨를 위로

국문본 옥루몽은 조씨가 번역했다고 함

구성적 관계

구운몽과 문제의식, 환몽구조 비슷함

구운몽보다 더 사실적

현세적 욕망에 관심

선비의 출세와 권력대결, 기생 강남홍의 운명 개척(신분주의->능력주의)

정치현실 비판인식 강함

불교적 깨달음 없음

유교사상을 골격으로 하고 불교+도교를 대승적 견지에서 수용

옥련몽(옥린몽 아님)과의 관계

옥련몽 옥루몽 둘다 남영로꺼.
옥련몽 먼저쓰고 중간부분을 개작하여 옥루몽

서유영, <육미당기>

16회 장회소설이라서 장편소설

불전소설 <선우태자전>과 불전소설 아닌 <적성의전>과 같은 기본구성

신라 소성왕 아들 소선태자가 부왕의 병을 고치고자 모험

작자 특유의 민족의식 (일본 정벌)

경술국치 이후 간행된 국문본 <김태자전>은 일본왕 항복부분 생략됨. 검열됐겠지?

기타 가정문제 소설

이이순 <일락정기>
심능숙 <옥수기>
정태운 <난학몽>

소설사적 의의

상층 사대부의 세계관

추가 참고: 하층문학 : 국문 통속소설식 영웅 일대기구조 (부분적 보수성+폭넓은 대중성을 다각도로 활용하며 나름의 진지성 부여), 하층문학 : 국문 통속소설식 영웅 일대기구조 (소설사적 추세 : 하층문학의 인기가 상층에 지대한 영향)

하층문학 : 국문 통속소설식 영웅 일대기구조

추가 참고: 상층 사대부의 세계관 (부분적 보수성+폭넓은 대중성을 다각도로 활용하며 나름의 진지성 부여), 상층 사대부의 세계관 (소설사적 추세 : 하층문학의 인기가 상층에 지대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