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
1. 체언 + 조사 꼴로 결합됨. 어느 한 쪽이 없는 채로 문장이 종결될 수 없음.
*체언 뒤에 조사가 안 붙은 채로 어미가 와서 문장 또는 어절이 종결될 순 없습니다. 그건 중세국어부터 내려져온 우리말의 고유한 교착어적 성질 입니다.
이를 헷갈리게 하는 주요 형태를 보겠습니다.
이것은 바다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법하며 느낌상 맞는 문장 같지만, 바다 + 다(평서형 종결 어미) 가 생짜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바다 + 이(서술격 조사) + -다(평서형 종결 어미) 의 결합입니다.
여기서 이(서술격 조사)는 선행 체언이 모음으로 끝나는 관계로 생략된 겁니다.
즉, 조사가 생략되더라도 체언+조사 꼴은 항상 유지된다는 겁니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때는 생략이 큰 상관 없지만, 형태소 분석에선 생략된 형태도 밝혀내야 합니다.
2020/06/14 - [대학생활&공부]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석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
기계인 형태소 분석기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목적 : 문장 내에서 형태소 간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함. 1.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계열 관계란? 같은 문법적 성질을 '갖는 말들' 사이의 관계
ojwisscary.tistory.com
2. 용언 어간 + 어미 꼴로 결합됨. 어느 한 쪽이 없는 경우는 일어날 수 없음.
마찬가지로, 용언 어간이 단독 사용되는 형태소 구성은 없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돼", "(집에) 가", "(침대에서) 자" 처럼 용언의 앞부분만(어간 부분만) 말합니다.
하지만 이 말을 형태소 분석 할 때는 이 용언어간 뒤에 붙은 어미까지 살려줘야 합니다.
용언 어간 |
어미 |
되- |
-어 |
가- |
-아 |
자- |
-아 |
참고로 '되+어'구성인 '돼'는 그 자체가 '되어'의 준말입니다.
'돼'를 쓸 상황에 '되'를 쓰(입력하)는 것은 'banana'에서 'ban'만 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대학생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태소 쪼갤때 하이픈 넣어? 말어?? (0) | 2020.06.16 |
---|---|
한자어의 형태소 분석? 한 글자씩? (0) | 2020.06.15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석 (0) | 2020.06.14 |
교육심리학) 사회인지 학습이론(반두라 보보인형) (0) | 2020.06.12 |
형태소를 보는 2가지 관점 (0) | 202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