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소분석 4

국어 단어 분석의 관점과 단어 형성의 관점

비슷해 보이는 단어들이 형태소 분석할 때는 같지만 형성 과정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박음질 (1) 박음(어근) + -질(접미사) >> 파생 (2) 박(동사의 어근) + -음(접미사) >> 파생 = 파생 총 2번 cf) 접미사 '-음'이 '명사형 어미' 인 것처럼 보인다면? 다음을 참조하세요! 어간, 어근 구분 왜 쓸데없이 글자는 비슷해가지고... 간단히 말해서, 어간과 어근은 분석할 때가 다릅니다. 마치 명사/동사/부사 같은 품사와 주어/목적어/서술어 같은 문장성분을 부르는 때가 다르듯이... 어간� ojwisscary.tistory.com 싸움질 (1) 싸움(별개의 '단어'=사전 등재) + -질(접미사) >> 파생 = 파생 총 1번 다만 형태소 분석처럼 '분석'하는 관점에서는 어간, 어미를 활용하여 ..

대학생활&공부 2020.07.26

형태소 분석 시 주의할 점 : 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을 따릅시다.

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 1. 체언 + 조사 꼴로 결합됨. 어느 한 쪽이 없는 채로 문장이 종결될 수 없음. *체언 뒤에 조사가 안 붙은 채로 어미가 와서 문장 또는 어절이 종결될 순 없습니다. 그건 중세국어부터 내려져온 우리말의 고유한 교착어적 성질 입니다. 이를 헷갈리게 하는 주요 형태를 보겠습니다. 이것은 바다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법하며 느낌상 맞는 문장 같지만, 바다 + 다(평서형 종결 어미) 가 생짜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바다 + 이(서술격 조사) + -다(평서형 종결 어미) 의 결합입니다. 여기서 이(서술격 조사)는 선행 체언이 모음으로 끝나는 관계로 생략된 겁니다. 즉, 조사가 생략되더라도 체언+조사 꼴은 항상 유지된다는 겁니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때는 생략이 큰 상관 없지만, 형태소 분석..

대학생활&공부 2020.06.14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석

기계인 형태소 분석기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목적 : 문장 내에서 형태소 간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함. 1.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계열 관계란? 같은 문법적 성질을 '갖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문장 내에서 각각의 형태소로 생각되는 부위를 문법적으로 비슷한 다른 말로 바꿔보세요. 꽃 계열 이 계열 예쁘 계열 다 계열 꽃 이 예쁘 다 너 마저 곱 다 날씨 까지 뜨겁 네 실생활에서 자주 쓰던 방식이죠? 이걸 "형태소의 계열 관계로 분석해본다" 라고 합니다. 2. 형태소 분석의 통합 관계 통합 관계란? 서로 결합해서 더 큰 언어 단위를 만들 수 있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더 쉬운 말로 하면 다른 말이 사이에 낄 수 있는지 여부. 껴봐서 들어가는 자리가 형태소의 경계입니다. 꽃 이 예쁘 다 만 겠..

대학생활&공부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