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2

국어 현대문학교육의 기준은 21세기로 끌어당겨질 때가 됐다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커리큘럼)'이라는 우화를 빙자한 이론에서도 알 수 있듯, 구 커리큘럼이 '낡았다'는 비판에 맞서 주로 내세우는 주장은 '우리가 가르치는 전통에는 그 교과를 대하는 기본적 정신이 들어 있다.'이다. 때문에 나는 기존 커리큘럼에서 '정신'만을 추출한다면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커리큘럼과 학습제재를 수월하게 받아들이고, 옛 커리큘럼을 학습수준에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인내로 공부하며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고 본다. 평소에도 국어 교과에서 '현대문학'으로 분류되는 일제 강점기~1970년대까지의 문학 작품들을 모든 학생들이 그렇게 많이 알고 있어야 할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에서 일상 속에서 모순을 발견하는 주인공의 비극적인 마음, 에서 같은 공간에서 대화는 하지만 자기 할..

대학생활&공부 2021.01.08

최인훈, <회색인>

줄거리 요약 -1958년, 비 내리는 가을 저녁에 독고준의 하숙집으로 그의 친구인 김학이 찾아온다. 그들은 술을 마시며 학술 동인지 에 실린 독고준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자기들의 동인회에 가입하라는 김학과 한바탕 논란을 벌인 독고준은 김학을 보내고 나서, 떨어지는 빗방울을 바라보며 공상과 상상이 혼합된 사고(思考)의 여행을 떠난다. 철조망 너머 그의 집과 사과밭, 부서진 학교, 월남(越南)한 아버지, 아무런 이유도 모르는 채 지도원 선생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자신 등등 자신의 유년 시절로부터 시작되는 이 복잡하고 정신없는 상상의 여행 속에서 독고 준은 소외되었던 자신, 아니 지금 현재까지도 소외되어 있는 자신을 돌아보며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출처 http://www.seelotus.com/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