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2

대중문화는 학교 교육과정에 편입될 자격이 있는가?

인류가 쌓아올린 문화유산 중 오랜 시간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인정받아온 걸작들은 그 특징만으로도 축적된 지식을 전달할 의무가 있는 학교 커리큘럼에 편입될 이유가 충분하다. 반면 대중문화는 인류 문화의 현재를 대변한다. 지식 전달과 더불어 실제 생활에 적응하는 법도 학교가 가르쳐야 할 것 중 하나이므로 현재의 문화를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따라서 고전과 현대의 대중문화는 각각의 가치 영역이 있고, 어느 하나가 학교 교육의 과정에서 '삭제'되어서는 안 된다. 사실 현대의 대중문화는 고전의 주요 요소를 재구성한 것이 많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무언가에 대한 추구', '유한한 삶을 온전히 살아내는 법', 셰익스피어 작품의 희극과 비극 플롯, 고전음악과 수학이 발달시킨 박자와 조성은 ..

대학생활&공부 2021.01.08

실생활 중심 진보주의 교육 vs 문화유산 중심 전통주의 교육 - 본질주의자 베이글리(Bagley)의 관점에서

교육이 실생활에 밀착해서 이루어져야 하느냐, 전통적 교과로부터 통찰을 획득하게 해야 하느냐의 논쟁을 끝내기 위해 Bagley의 본질주의적 입장을 일부 차용할 필요가 있다. 학생의 흥미와 욕구를 우선 고려하는 진보주의는 미성숙자에게 무엇을 배울 것인가를 맡긴다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학생이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구조화하는 법,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법을 배우지 않기로 선택했다면 심할 경우 자연에서 뛰노는 것과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다. 학교가 사회에서 해줄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업의 주도권은 가르치고 배우는 일을 주로 고민한 교사에게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인 지식의 형태로 가르칠 필요는 있다. 모든 인간은 문화유산의 풍요로운 ..

대학생활&공부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