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2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문과의 역할은 무엇인가?

브금은 (원곡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완성악보 ) 저희 고등학교에는 진로 선생님이 계셨습니다. 나이는 지긋하셨지만 항상 미래를 내다보는 사람이었죠. 그분에게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를 귀에 인이 박히도록 들었습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은 생각보다 빨리 피부로 느껴지지 않길래 ‘학자들이 유명해지려고 섣불리 만든 용어다’라고 차치했습니다. 에서는 수학과 통계 교육의 장밋빛 미래가 펼쳐집니다. 종래의 수학 교육과는 다르게 코딩적 사고력을 기름으로써, AI와 빅데이터로 대표되는 컴퓨터 기술을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야 한다고 말합니다. 노동력 확보를 위한 교육의 표준화적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고도 말합니다. 그런데 저는 그것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는데, 분노에 가까운 감정까지 같..

교육심리학 - 도덕성 발달이론(피아제, 콜버그, 길리건)

도덕성 발달 :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되는 옳고 그름의 개념을 익혀가는 인간발달의 과정 (정신분석학 : freud-‘남근기’ 욕망/충동 억제, 부모 행동/가치기준 내면화 -> 초자아(도덕적으로 옳고그름을 판단)를 형성) (행동주의 : 고전적/조작적 조건형성, 모델링의 결과=도덕성 행동) (인본주의 : 타고난 선을 자연스럽게 키워감으로써 자아실현) (인지주의 : 인지적 추론 강조, ‘도덕성이란 도덕적 갈등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개인의 능력)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 5~13세 스위스 아동 임상 인터뷰 “좋은의도컵15개vs나쁜의도컵1개” 전도덕성 단계 (~4세) : 인터뷰 실시 대상이 아님 타율적 도덕성 단계 (5~9세) : 규칙과 질서를 수정할 줄 모르고 절대신봉, 행동의 결..

대학생활&공부 202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