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4

불규칙 활용 문제를 푸는 행동 시퀀스

'태극기를 달다'에서 동사 '달다'는 불규칙 활용한다. 맞을까요 틀릴까요? - 어... 달다, 다니, 다세요... 맞는거 같은데? 흔히 이런 식으로(수능 객관식 선지가 특히) 불규칙 활용을 묻는 문제가 나옵니다. 학교 국어 수업에 졸지 않았다고(불규칙 활용이 뭔지 개념적으로 알고 있다고) 해도 예시 용언을 하나 던져놓고 그것이 불규칙 활용하냐 진위여부를 판단하라고 하면 잠시 뇌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뇌절.....아니 뇌정지 순간이 올 때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문제 용언이 불규칙 활용이 되는 양상을 상상해본다. (참고로 용언 = 동사+형용사) 2. 그 양상이 어간이 바뀌는 양상인지, 어미가 바뀌는 양상인지 판단한다. 3. 알고 있는 (어간 또는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 활용 종류..

대학생활&공부 2020.09.06

'-(으)ㅁ'은 접미사일수도 있고, 어미일수도 있습니다.

명사형 (전성)어미와 품사를 명사로 바꾸는 (파생)접사의 형태가 '-(으)ㅁ', '-기'등으로 같을 때 구별법 1. 명사형 어미는 문장 내에서 서술어로 쓰이고 있는 어간을 명사로 바꿈 (= 서술어로 추정되는 문제의 그 부분을 끝으로, 문장이 따로 떼어져 만들어지는지) (= 부사어 등의 수식을 받는지) 내가 웃음으로써 이 세상이 편안해진다. 나는 쉬지 않고 한번에 달리기 때문에 덜 지친다. 2. 품사를 명사로 바꾸는 (파생)접사는 문장 내에서 서술어로 쓰이지 않는 어간을 명사로 바꿈 (= 서술어 아닌 것으로 추정되는 그 부분을 끝으로, 문장이 깔끔하게 안 만들어지는) (= 부사어 등의 수식을 받지 못하는지) 나는 세상을 편안하게 보기 때문에 (부사어 첨가 불가) 웃음이 많다. 이번 종목은 달리기다. (달리..

대학생활&공부 2020.08.20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다?

의존명사는 자립형태소다. 사실 의존명사+자립명사=명사 전체가 자립형태소다. 자립형태소의 '자립'은 그 형태소 그대로가 문장에서 떨어져 나와도 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자립형태소가 '자립'하는 경우를 알아보자.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얘네들은 자립명사이다. 모두 문장 내에서 띄어쓰기를 통해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 '독립적인 어절로 나타난다'를 자립의 또다른 설명이라고 봐도 되겠다. 다음은 의존형태소이다. 조사, 동사, 형용사와 그 구성 요소(어근+접사 or 어간+어미) 이들은 모두 문장에서 따로 떨어져 나오지 못한다. 다들 어딘가에 붙어 있다. 조사는 당연히 체언 등 뒤에 띄어쓰기도 못하게 찰싹 붙어있고, 동사와 형용사는 이 둘이 '활용'한다는 점을 떠올리면 쉬울 것이다...

대학생활&공부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