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형태론 6

문장을 문법적으로 분석할 때 '어미'를 어디에 써야 할 지 : 용언의 활용

용언의 활용 활용 : 용언의 어간 뒤에 어미가 결합하는 것 -> "활용은 용언만 할 수 있습니다." 용언 활용의 종류 1 - 종결형 문장을 끝에서 끝맺는 활용형. 평서형/의문형/명령형/청유형/감탄형 이 있습니다. 익숙하시죠. 이때 나오는 어미는 '종결 어미' 입니다. 용언 활용의 종류 2 - 연결형 문장을 끝맺지 않고, 뒤에 오는 문장(혹은 보조 용언)과 이어주는 활용형 보조용언이 궁금하다면? 2020/07/13 - [대학생활&공부] - '아어게지고'가 머드라... : 보조적 연결어미, 본용언과 보조 용언 '아어게지고'가 머드라... : 보조적 연결어미, 본용언과 보조 용언 코로나 때문에 대인접촉을 피해 캠핑이라도 가고 싶다. 1. 본용언과 보조용언 가고 : 단독으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는 용언 싶다 :..

대학생활&공부 2020.07.17

논란이었던 '잘생기다'로 본 동사, 형용사 판별법 정리

여러분, '잘생기다'는 동사일까요 형용사일까요? 조금만 문법 교양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형용사'라고 판단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2017년 12월 국립국어원에서 '동사'라고 못박았습니다. 논란이 일파만파~~~ 국립국어원에서 나름 반박문도 게시했습니다. https://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board_id=4&mn_id=182&b_seq=2027&pageIndex=1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공지 사항 상세보기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17. 12. 15. 조회수 16311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 안녕하십� www.korean.go.kr 저로서는 반쪽은 수긍 가고 ..

대학생활&공부 2020.07.13

형태소 분석 시 주의할 점 : 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을 따릅시다.

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 1. 체언 + 조사 꼴로 결합됨. 어느 한 쪽이 없는 채로 문장이 종결될 수 없음. *체언 뒤에 조사가 안 붙은 채로 어미가 와서 문장 또는 어절이 종결될 순 없습니다. 그건 중세국어부터 내려져온 우리말의 고유한 교착어적 성질 입니다. 이를 헷갈리게 하는 주요 형태를 보겠습니다. 이것은 바다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법하며 느낌상 맞는 문장 같지만, 바다 + 다(평서형 종결 어미) 가 생짜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바다 + 이(서술격 조사) + -다(평서형 종결 어미) 의 결합입니다. 여기서 이(서술격 조사)는 선행 체언이 모음으로 끝나는 관계로 생략된 겁니다. 즉, 조사가 생략되더라도 체언+조사 꼴은 항상 유지된다는 겁니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때는 생략이 큰 상관 없지만, 형태소 분석..

대학생활&공부 2020.06.14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통합 관계, 불규칙 용언의 형태소 분석

기계인 형태소 분석기 & 인간이 형태소를 분석하는 목적 : 문장 내에서 형태소 간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함. 1. 형태소 분석의 계열 관계 계열 관계란? 같은 문법적 성질을 '갖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문장 내에서 각각의 형태소로 생각되는 부위를 문법적으로 비슷한 다른 말로 바꿔보세요. 꽃 계열 이 계열 예쁘 계열 다 계열 꽃 이 예쁘 다 너 마저 곱 다 날씨 까지 뜨겁 네 실생활에서 자주 쓰던 방식이죠? 이걸 "형태소의 계열 관계로 분석해본다" 라고 합니다. 2. 형태소 분석의 통합 관계 통합 관계란? 서로 결합해서 더 큰 언어 단위를 만들 수 있는 말들 사이의 관계입니다. 더 쉬운 말로 하면 다른 말이 사이에 낄 수 있는지 여부. 껴봐서 들어가는 자리가 형태소의 경계입니다. 꽃 이 예쁘 다 만 겠..

대학생활&공부 2020.06.14

예문들로 알아보는 국어의 품사 통용(+품사별 특징)

품사 통용 : 한 단어가 둘 이상의 품사를 갖는 현상 이 나무가 저 나무보다 더 크다. (상태를 나타내서 형용사이며, '-다'와 결합해 현재시제를 표시합니다.) 이 나무가 저 나무보다 잘 큰다. (커진다는 동작, 즉 작용을 나타내서 동사이며, 마찬가지로 '-다'와 결합해 현재시제를 표시합니다.) 다섯은 넷에 하나를 더한 수이다. (수를 나타내는 다섯이 주어로 사용되어서, 체언 소속인 수사입니다.) 다섯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 (수를 나타내긴 하지만 후행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맡으며, 이는 관형사의 용법입니다.) 합리적으로 생각해 봐. / 합리적인 생각이다. (명사 특 : 조사와 결합) 합리적 생각이다. (조사 없고, 생각이라는 후행 체언을 수식하며, 이는 관형사적 용법) 비교적인 관점 (..

대학생활&공부 202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