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4

국어 현대문학교육의 기준은 21세기로 끌어당겨질 때가 됐다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커리큘럼)'이라는 우화를 빙자한 이론에서도 알 수 있듯, 구 커리큘럼이 '낡았다'는 비판에 맞서 주로 내세우는 주장은 '우리가 가르치는 전통에는 그 교과를 대하는 기본적 정신이 들어 있다.'이다. 때문에 나는 기존 커리큘럼에서 '정신'만을 추출한다면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커리큘럼과 학습제재를 수월하게 받아들이고, 옛 커리큘럼을 학습수준에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인내로 공부하며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고 본다. 평소에도 국어 교과에서 '현대문학'으로 분류되는 일제 강점기~1970년대까지의 문학 작품들을 모든 학생들이 그렇게 많이 알고 있어야 할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에서 일상 속에서 모순을 발견하는 주인공의 비극적인 마음, 에서 같은 공간에서 대화는 하지만 자기 할..

대학생활&공부 2021.01.08

플라톤 <국가론>스타일로 자신만의 커리큘럼(교육과정) 만들어보기...

현대 사회는 융합형 교육을 중시합니다. 따라서 제가 국어교육과인 만큼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와 연계될 수 있는 커리큘럼을 플라톤의 을 참고하여 작성해보았습니다. 관련되는 국어 외 과목은 [ ]로 표시하였습니다. 제 커리큘럼은 국어에 한정된 커리큘럼이며 다른 모든 과목이 빠짐없이 학습된다는 가정 하에 작성되었습니다. ~아동기(초등학교까지) 가정과 유치원에서 옛날이야기와 동시, 민요와 동요를 배우면서 감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세계에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킵니다. 시를 읽고 떠오르는 것 그림으로 표현해보기[미술], 옛날이야기 역할극에서 민요와 동요 부르는 장면[음악]을 삽입하면서 리듬에 대한 기초적 감각과 말과 노래가 같이 등장하는 연극 문학갈래의 특징을 자연스럽게 익힙니다. 한글 자모를 익히고..

대학생활&공부 2020.12.31

국어교육은 어떻게 게임에 접목될 수 있을까?

학창시절에 국어 교과서를 읽어주기만 하고, 국어 교과서에 나온 것들만을 설명하다 가버리는 선생님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또 국어과 소모임 형태로 세종시로 자유학기제 지원사업을 나가고 있는데, 춤이나 성우극회 등 가르치는 성격이 뚜렷한 다른 학과나 동아리와 달리 저희 팀은 수업시간에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야 했습니다. 이처럼 국어교육과를 나온 교사는 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지만, 다른 교과에 비해 자신이 가르치는 국어의 영역이 어디까지인가를 제대로 파악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우리말을 할 줄 아는데 국어를 왜 배워요?”하는 학생의 물음에 명확하게 대답하기가 국어 교사로서는 쉽지 않습니다. 위의 학생이 ‘국어’라고 생각하는 의사소통이라고 결론짓기엔 학생의 질문처럼 국어를 학교에서 가르치는 ..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 : 고전소설 내 삽입시의 기능

삽입시의 기능 추가 참고: 전기소설, 몽유록 전기소설, 몽유록 등에 등장 작품내적 기능 구성상의 기능 사건 전개 장면 전환 복선 형식상의 기능 의사소통 독백 총론 내용상의 기능 정경묘사 인물묘사 작품외적 기능 작자의 재능과 개성의 발현 향유층이 고급이었다는 증거 김만중 엄마도 문장력이 뛰어나 삽입시 삽입

대학생활&공부 2020.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