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2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효과적인 인문학 교육

발달한 기술들을 인문학을 가르치는 데 쓸 수 있을까요? 제 고등학교 진로 선생님은 시도 때도 없이 페이스북에 신기술에 관한 기사와 동영상을 공유합니다. 보다 못한 제가 댓글을 달았습니다. “근데 학교에서 수학 과학이 저리 역동적으로 가르쳐질 동안 인문학은 어떻게 가르쳐질까요?” “공자(孔子)가 살아날 것이다.” 저는 여기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저에겐 인상 깊은 두 개의 TED가 있습니다. 하나는 컴퓨터에게 반복 훈련을 시켜 많은 사진 중에서 검색한 조건에 맞는 사진을 골라내게 하는 기술(딥러닝)에 관한 TED였고, 다른 하나는 시뮬레이션으로 현실에 최대한 가까운 실험실을 구현하여 실제로 하기 위험한 실험들을 하고, 전통적 강의를 아득히 뛰어넘는 학습 효율을 이끌어내는 사례의 TED였습니다. 저는 두 T..

청소년을 위한 논어 : 역사 교과서 읽듯 논어에 입문하자

먼저 이 글 작성자 본인은 다음 링크의 '청소년을 위한 논어' 게시글의 작성자와 동일함을 알려드립니다. 이 서평을 다시 언급하는 이유는 그때 썼던 글을 첨삭과정을 거쳐 지금 글 쓰는 스타일로 바꿔보고자 함이니, 그 점 참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후 이 '다시 쓰는 독후감' 카테고리에 올리게 될 서평들에게도 이 점은 똑같이 적용됩니다. 애초에 도둑질할 목적이라면 원본과 고친글을 동시에 올리는 미친짓은 안 할겁니다. https://blog.naver.com/ogu123/220174846901 청소년을 위한 논어 청소년을 위한 논어 작가 양성준 출판 두리미디어 발매 2014.08.12 리뷰보기 옛 성현의 고전을 읽을 차례였... blog.naver.com 문과생이나 인문계열 분야로 진로를 정한 청소년들은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