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2

국어 현대문학교육의 기준은 21세기로 끌어당겨질 때가 됐다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커리큘럼)'이라는 우화를 빙자한 이론에서도 알 수 있듯, 구 커리큘럼이 '낡았다'는 비판에 맞서 주로 내세우는 주장은 '우리가 가르치는 전통에는 그 교과를 대하는 기본적 정신이 들어 있다.'이다. 때문에 나는 기존 커리큘럼에서 '정신'만을 추출한다면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커리큘럼과 학습제재를 수월하게 받아들이고, 옛 커리큘럼을 학습수준에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인내로 공부하며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고 본다. 평소에도 국어 교과에서 '현대문학'으로 분류되는 일제 강점기~1970년대까지의 문학 작품들을 모든 학생들이 그렇게 많이 알고 있어야 할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에서 일상 속에서 모순을 발견하는 주인공의 비극적인 마음, 에서 같은 공간에서 대화는 하지만 자기 할..

대학생활&공부 2021.01.08

김훈 - 내 젊은 날의 숲

야간자습을 넘어선 심야자습 후 호실로 들어와서, 잠이 올 때까지 랜턴을 책에 들이대고 약 30분씩 읽었다. 그러므로 책의 모든 장은 전짓불 빛에 눈이 짓물러 있을 것이었다. 그 모든 글들은 이제 내 편이 아닐 텐데... '내 젊은 날의 숲'은 여러 일들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변함없는 평탄함을 그려낸다. 주인공은 시화평고원과 자등령이 펼쳐진 민간인 통제구역 내의 수목원에 식물들의 세밀화를 그리는 계약직 공무원으로 채용된다. 거기서 몇 안되는 사람들을 만나고 그림을 그리려 자연을 관찰하고 아버지의 일이 이어지고 하면서 이래저래 시간과 책 페이지가 흘러간다. 사실 이순신의 전쟁 중 행적을 다룬 김훈의 대표작 '칼의 노래'도 해전이 자연의 자정작용인마냥 담담하게 문장이 흘러간다(니 '내젊은날의숲'에 대해 할말 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