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어 2

사이시옷 없는데 왜 있다 그러세요?

콧물, 치맛바람, 눈병, 솔방울 이 단어들은 모두 사이시옷이 있습니다. 눈병, 솔방울 이건 아니라고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면 사이시옷이 '있다'고 간주합니다. 1. 합성어다. 2. 합성어를 이루는 어근 중 한 개 이상이 고유어다. * 3. 뒷 어근 첫 자음이 된소리로 발음된다. (눈병, 솔방울) 4. 뒷 어근 첫 자음이 된소리가 될만한 발음이 아닐땐(ㄴ,ㅁ) 앞 어근 끝에 발음상 [ㄴ,ㅁ]이 첨가된다. (콧물) - 이럴 때 사이시옷이 있으며, 앞 어근 끝이 모음으로 끝나면 그제서야 사이'ㅅ'표기를 반영해준다. (치맛바람) * (예외) 모든 어근들이 한자어인데 사이시옷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딱 6개가 있습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대학생활&공부 2020.10.04

명사 이외의 파생어들 : 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 파생 접두사/접미사

접두사에 의한 파생 : 접두사는 파생어의 품사를 못 바꾼다. n사인 어근에 어떤 접사가 결합하면 그 파생어는 n사다. (접두사의 종류) 명사 파생 : 개-(개살구, 개꿈, 개고생 등 질이 떨어지는 뜻을 더해줌. 주로 고유어 계열 단어에 접두사로 붙음), 노(늙은)-, 덧-, 돌-, 맏-, 부-, 수/숫-(이형태, 수컷의, 수꿩/숫양 등과 다르게 수탉/수캐에 격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중세국어 때 'ㅎ'발음의 영향 때문이다.), 알-, 잡-, 차/찰-(이형태, 기본형은 '찰-'이며 '차조'에서는 뒷말의 ㄴ,ㄷ,ㅅ,ㅈ 앞에서 '찰'의 ㄹ이 탈락했기 때문이며 '찹쌀'에서는 중세국어 합용병서(차+ㅄㅏㄹ)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찹쌀이 된다.), 참-, 탈-, 풋-, 한- 동사 파생 : 겉-, 늦-, 덧-, 맞-, 설-..

대학생활&공부 202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