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3

'비음동화'와 'ㄹ의 비음화'가 별개의 현상인 이유

음절말 ㅂㄷㄱ가 음절초 ㅁㄴ 앞에서 ㅁㄴㅇ 되는 것은 '비음동화'이고, ---------(A) 주로 한자어에서 음절초 ㄹ이 ㅂㄷㄱㅁㅇ 뒤에서 ㄴ 되는 것은 'ㄹ의 비음화'이다. --------(B) 근데 표준발음법 19항과 그 [붙임]을 보면 ㅁㅇ뒤에서 ㄹ이 ㄴ 된다고, (A)를 따로 나눠놨다. (나머지 ㅂㄷㄱ는 [붙임]에 붙임) (B) 역시 (A)라고 뭉뚱그려 생각하기 매우 쉽게 표준발음법을 만들어놨다. 실제 학교문법에서도 (B)를 (A)에 포함시켜 교육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수능엔 영향 없나?) 이제 다시 A를 '비음동화'로, B를 'ㄹ의 비음화'라고 치환해서 설명하겠다. 일단 학문적으로 비음화 = 비음동화 + ㄹ의 비음화 이렇게 두 노선으로 나눠 취급한다는 것을 알고 가자. 비음동화 : ㅂㄷㄱ이..

대학생활&공부 2022.01.27

조사 총정리 #1 : 조사의 큰 분류, 조사 목록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조사가 존재하는 '교착어'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철수는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에서 는, 에서, 을, 다 가 조사입니다. 조사는 크게 이렇게 나뉩니다. 1. 격조사 : 선행 명사구의 격을 나타내주는 조사 (명사(구) 뒤에 붙음) 주격 조사 : 이/가, 께서, 에서, 이서 목적격 조사 : 을/를 보격 조사 : 이/가 서술격 조사 : (이)다 관형격 조사 : 의 부사격 조사 : 에, 에서, 로, 와, 과, 처럼, 만큼, 보다, 에게, 한테, 더러 ... 등등 많음 호격 조사 : 야/아, (이)여, (이)시여 2. 보조사 : 선행 명사구의 의미적인 기능을 첨가해주는 조사 (명사(구) 뒤에 붙음, 여러 격이 가능) 만, 도, 은/는, 까지, 조차, 마저, 부터, (이)나, ..

대학생활&공부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