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화검사 2

암기지향 교육평가) 양적평가와 질적평가, 표준화검사와 교사제작검사

양적평가★ 장점 : 평가대상을 어떻게든 수량화해 간결명료하고 분명하다, 주관성 배제, 신뢰도 높음 단점 : 전체적 조망~심층적평가 불가, 결과중심적 질적평가 = 대표적 방법 : 수행평가★★★ 질적자료 수집-분석,이해, 판단하는 평가 특징(전자귀) : 전체적 관점(구인 안쪼개고 전체로서 이해), 귀납적 방법(개별적 자료 수집 후 분석 종합 의미도출), 자연 상황적 탐구(어떤 조작 안가하고 있는그대로평가) 전체적 관점 : 현상, 상황을 전체로서 이해 장점 : 평가대상을 전체적, 종합적으로 평가, 결과뿐 아니라 과정도 관심 준다 단점 : 평가자 주관 개입 소지, 객관성 확보 어려움, 평가결과 일반화 어려움 = 교사 : 양적 질적 상호보완적으로 하는 평가역량 갖추자~ 표준화검사 : 전문가가 제작, 표준화된 절차..

교육심리학) 교육평가, 표준화 검사

1. 평가의 의미와 목적 - 측정(measurement) : 어떤 대상에 대한 특성을 수량화하는 것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 - 검사(test) : 점수 또는 다른 형태의 수량적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사전에 결정된 반응유형을 요구하는 질문/과제 (성취동기 검사, 흥미검사, 지능검사 등) - 사정(assessment) :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과정(여러 검사나 평가 방식을 통해 양적/질적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결정하는 과정) - 평가(evaluation) : 사정을 통해 한 개인/대상에 대한 양적/질적 특성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여 미래방향을 설정하는 것 (측정, 검사, 사정 등을 활용해서 학생이 어떤 교과에 재능있음을 발견하고 관련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방향을 설정해주고..

대학생활&공부 2020.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