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조사 2

부사격 조사와 접속 조사를 판별하는 법 : 와/과, (이)랑, 하고 등등

나는 국어와 물리를좋아한다. 데이브와 커트는 친구였다. 여기서 '와'가 조사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왜 조사인지 모르겠다면? 어떤 단어의 품사를 모르겠을 때 1. 감탄사입니까? 2. 띄어쓰기 없이 쓰인 곳의 뒷부분입니까? - 맞다면 >> 조사입니다. (띄어쓰기 없는 앞부분은 체언일 것. 이를 충족하는 '수를 나타내는 말'은 수사=수관형사 아님.) 2.. 활용하고 ojwisscary.tistory.com 그런데 가끔 이 '와'가 상대/상호보완의 의미를 지니는 부사격 조사인지, 단순히 대등하게 이어주는 접속 조사인지를 물어보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실제 국어생활에 이런 걸 몰라도 사는 데 지장 없는데 하실 수도 있겠지만 분명히 상대/대등의 의미를 다르게 쓰는 뉘앙스 차이를 우리 모두 인지하고 있고, 그 뉘앙..

대학생활&공부 2020.08.21

조사 총정리 #1 : 조사의 큰 분류, 조사 목록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조사가 존재하는 '교착어'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철수는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에서 는, 에서, 을, 다 가 조사입니다. 조사는 크게 이렇게 나뉩니다. 1. 격조사 : 선행 명사구의 격을 나타내주는 조사 (명사(구) 뒤에 붙음) 주격 조사 : 이/가, 께서, 에서, 이서 목적격 조사 : 을/를 보격 조사 : 이/가 서술격 조사 : (이)다 관형격 조사 : 의 부사격 조사 : 에, 에서, 로, 와, 과, 처럼, 만큼, 보다, 에게, 한테, 더러 ... 등등 많음 호격 조사 : 야/아, (이)여, (이)시여 2. 보조사 : 선행 명사구의 의미적인 기능을 첨가해주는 조사 (명사(구) 뒤에 붙음, 여러 격이 가능) 만, 도, 은/는, 까지, 조차, 마저, 부터, (이)나, ..

대학생활&공부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