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두사 4

역사적 이유 때문에 이형태가 생겨나는 경우 : 통시적 이형태

접두사의 경우, 통시적(역사적)이유로 이형태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암ㅎ- 수ㅎ- (체언 뒤 ㅎ자음이 있었던 것의 흔적) >> 암말-암캐의 차이가 이형태임 2. 숫- 햇- (체언과 체언 간 사잇소리가 있었던 것의 흔적) >> 숫염소-수술의 차이가 이형태임 3. 찹- 멥- 햅- 휩- (뒤에 오는 어근이 ㅂ계열 어두자음군이었던 것의 흔적) >> 휘갈기다-휩싸이다의 차이가 이형태임, 해(년) + 쌀 = 햅쌀. 해가 햅이 된 것이 이형태임 4. 차- (찰-에서 시간이 흐르며 ㄹ이 탈락한 흔적) >> 찰('찰기, 찰떡'할 때) + 조 = 차조. 찰이 차가 된 것이 이형태임

대학생활&공부 2020.08.21

명사 이외의 파생어들 : 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 파생 접두사/접미사

접두사에 의한 파생 : 접두사는 파생어의 품사를 못 바꾼다. n사인 어근에 어떤 접사가 결합하면 그 파생어는 n사다. (접두사의 종류) 명사 파생 : 개-(개살구, 개꿈, 개고생 등 질이 떨어지는 뜻을 더해줌. 주로 고유어 계열 단어에 접두사로 붙음), 노(늙은)-, 덧-, 돌-, 맏-, 부-, 수/숫-(이형태, 수컷의, 수꿩/숫양 등과 다르게 수탉/수캐에 격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중세국어 때 'ㅎ'발음의 영향 때문이다.), 알-, 잡-, 차/찰-(이형태, 기본형은 '찰-'이며 '차조'에서는 뒷말의 ㄴ,ㄷ,ㅅ,ㅈ 앞에서 '찰'의 ㄹ이 탈락했기 때문이며 '찹쌀'에서는 중세국어 합용병서(차+ㅄㅏㄹ)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찹쌀이 된다.), 참-, 탈-, 풋-, 한- 동사 파생 : 겉-, 늦-, 덧-, 맞-, 설-..

대학생활&공부 2020.07.29

'새, 헌'은 무조건 접두사? : 접두사와 관형사/부사의 구별

1. 접두사 vs 관형사 공통점 : 후행하는 명사의 뜻 한정 (접사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 동사에 붙음 - '헛살다') (관형사는 그 자체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임) 차이점 1 :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 관형사는 분포 넓음 (=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관형사보다 적음) 접두사 '맨-' : 맨손, 맨주먹, 맨발, 맨몸 / 맨책, 맨수건, 맨차, 맨세탁기 신체 나타내는 단어에만 파생 가능 (제약조건 있음) 관형사 '새' : 새 신발, 새 수건, 새 차, 새 공연, 새 세탁기, 새 책 ... 등 갖다붙이면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가 더 많음 차이점 2 :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 관형사는 분리성 있음 (=접두사는 접두사와 ..

대학생활&공부 202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