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 2

'비음동화'와 'ㄹ의 비음화'가 별개의 현상인 이유

음절말 ㅂㄷㄱ가 음절초 ㅁㄴ 앞에서 ㅁㄴㅇ 되는 것은 '비음동화'이고, ---------(A) 주로 한자어에서 음절초 ㄹ이 ㅂㄷㄱㅁㅇ 뒤에서 ㄴ 되는 것은 'ㄹ의 비음화'이다. --------(B) 근데 표준발음법 19항과 그 [붙임]을 보면 ㅁㅇ뒤에서 ㄹ이 ㄴ 된다고, (A)를 따로 나눠놨다. (나머지 ㅂㄷㄱ는 [붙임]에 붙임) (B) 역시 (A)라고 뭉뚱그려 생각하기 매우 쉽게 표준발음법을 만들어놨다. 실제 학교문법에서도 (B)를 (A)에 포함시켜 교육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수능엔 영향 없나?) 이제 다시 A를 '비음동화'로, B를 'ㄹ의 비음화'라고 치환해서 설명하겠다. 일단 학문적으로 비음화 = 비음동화 + ㄹ의 비음화 이렇게 두 노선으로 나눠 취급한다는 것을 알고 가자. 비음동화 : ㅂㄷㄱ이..

대학생활&공부 2022.01.27

국어 파생어의 여러가지 특징 : 제약, 어휘화, 생산성

1. 파생의 제약 - 접미사 '-이'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에 결합 불가 (음운론적 제약) 예) 구두닦이, 젖먹이 는 되지만 *양치이, *책상물리이 는 불가 - 중국발 일본식 접미사 '-적'은 한자어 어근에만 결합 가능 (형태론적 제약) 예) 논리적, 자본주의적 은 되지만 *마음적, *돈벌이적은 불가 cf) 니체적, 소크라테스적 처럼 일부 서구 외래어에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함 - 저지(blocking)현상 :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 단어가 규칙적인 파생어의 생성을 방해함 (의미론적 제약) 예) 접미사 '-개'는 동사 뒤에 붙어 도구 명사를 파생시키지만, 이미 만들어진 도구 명사 '빗, 신, 띠, 되'의 존재가 '*빗개, *신개, *띠개, *되개'의 생성을 방해함 (빗, 신, 띠, 되 는 동사 어근인 동시..

대학생활&공부 202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