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루몽 2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7 : 한문장편소설

한문장편소설 출현 배경 18세기 전반 을 시작으로, 19세기 들어 사대부 작가들에 의해 한문장편소설 출현. 옥린몽은 사씨남정기와 유사하지만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과 더불어 조선후기 독자들에게 폭넓게 읽힘 작가층은 정치적으로 소외되고 장편으로 한문을 쓸 만큼 글을 잘아는 근기지방 사대부. 소설에 현실비판의식 표출 자신의 사회적 실천의 결핍을 새롭게 부상한 문학양식인 소설로 해소해보고자 함 그들 사이 직간접적인 교류도 있는것으로 보아 작품들이 동질적인 사회문화적 배경을 공유 주요 작품 김소행, 숙종 7년 경상도 선산 실존사건 바탕 신라시대 인물로 설정해 결구 향랑이라는 여인이 시댁에서 핍박받아 친가로 피신하나 개가권유를 뿌리치고 투신해 죽은 이야기 이후 천상에서 향랑의 환생을 결정하기 위한 선현들의 논쟁 섬동..

대학생활&공부 2020.07.06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5 : 몽유록, 몽자류 소설

몽유록 추가 참고: 삽입시의 기능 정의 조선시대 지식층 작가들이 향유하던 허구적 서사문학 (all 한문) 자신의 심회나 현실 비판을 토로 이상세계를 설정하여 그의 지향의식을 묘사 허구성 화자는 몽유사실을 실제 체험인 것처럼 기술하지만 확인할 길이 없음 허구적 가탁 : 꿈을 의탁해 사건을 서술 소설 이전의 서사문학 소설 유행시기 사대부층의 서사적 욕구 충족 현실의 몽유자는 꿈에서 역사적 사건 관련 실존인물을 만나 그들에게 그 사건에 대한 견해를 직접 듣게 됨 소설 양식은 아니지만, 관련이 많아 소설론에서 다루기로 함 구조 스탠다드 폼 (많이 따르진 않음) (이를 따르는 정석은 입몽-인도-좌정-토론-토론의 진정 혹은 잔치의 배설-시연-시연의 정리-각몽 유형 분류 (주요 작품) 서술 구조에 따라 토론과 시연 ..

대학생활&공부 2020.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