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는 첨가어(교착어)이다. - 어기에 조사, 어미 같은 문법 형태소들이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함 - 문법 형태소들에 대해 잘 아는 것이 국어 문법을 잘 하는 것 2. 한국어는 유형적으로 SOV 언어이다. - 타동사가 쓰이는(목적어를 꼭 취하는) 문장 기준 주어-목적어-동사 순으로 옴 (영어 같은 인도유럽어 대부분, 중국어 등은 SVO 언어임) - SOV 언어 : 후치사 사용 (후치사 : 명사 뒤에 붙는 것. 조사 등) - SVO 언어 : 전치사 사용 (전치사 : 명사 앞에 붙는 것. at, to, of 등) - 한국어는 후치사 말고도 어미, 보조 동사도 각각 어간, 본동사 뒤에 위치함. (어미, 보조 동사가 명사 뒤에 붙는 후치사라는 것은 아님, 다만 '後'에 안치된다는 속성을 지니는 건 똑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