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 2

암기지향 교육평가) 온갖 폼나는 평가들 모음 (수행평가 등)

수행평가 = 대표적인 질적평가★★★ 개념 : 지식/기능을 수행(산출물, 행동, 답)으로 나타내는 과정이나 결과로 지식, 기능, 태도 전문적으로 판단 특징 - 주관적 : 교사 전문적 판단 - 정답 선택 전 - 아는 것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수행능력을 평가 - 과정, 결과 모두 중시하는 평가 -----> 과 - 학생의 개별학습 촉진하는 평가 (자신의 약, 강점 알게되므로) ----> 자 - 창의성 함양 수행평가 과제가 갖추어야 할 요건 - 실제적 과제 (지식 적용하는 수행능력 평가하므로) - 비용 시간 지필검사보다 큼 = 다양한 학습성과 평가 가능해야 - 구체적 채점기준 필요 (신뢰성, 타당성 위해) - 공정성(성, 계층) 수행평가..

교육심리학) 교육평가, 표준화 검사

1. 평가의 의미와 목적 - 측정(measurement) : 어떤 대상에 대한 특성을 수량화하는 것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 - 검사(test) : 점수 또는 다른 형태의 수량적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사전에 결정된 반응유형을 요구하는 질문/과제 (성취동기 검사, 흥미검사, 지능검사 등) - 사정(assessment) :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과정(여러 검사나 평가 방식을 통해 양적/질적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결정하는 과정) - 평가(evaluation) : 사정을 통해 한 개인/대상에 대한 양적/질적 특성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여 미래방향을 설정하는 것 (측정, 검사, 사정 등을 활용해서 학생이 어떤 교과에 재능있음을 발견하고 관련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방향을 설정해주고..

대학생활&공부 2020.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