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너 2

암기지향 교육방법) 브루너 발견학습, 오수벨 유의미 수용학습

브루너 발견학습★★★ 개념 : 학습과제 최종형태(지식 구조) 학습자 스스로 찾는 방법, 교사지시 최소화 순서 : 문제인식-가설설정-가설검증-결론도출 요소(지계학습강화) - 지식의 구조 : 각학문 기저 개-원, 핵심 idea 간 상호관련성 / 발달단계 따라 작동적-영상적-상징적 표현방식 - 계열화 : 지식 구조의 조직원리, 가르치는 순서, 발달단계 고려 나선형 교육과정 - 학습경향성 : 학습하려는 의욕, 경향 / 과제의 적절한 불확실성, 진행중 학습활동의 목표와의 관련성은 도전감과 지적호기심 자극 - 강화 : 학습결과의 대응방안 / 내-외적 / 내적 = 지속가능한 효과적 학습에 필수 발견의 촉진 조건(태요관련) - 학습태세 : 정보간 관계 발견지향적 내적경향성 - 요구상태 : 보통의 동기수준 - (구체적)..

브루너의 '대담한 가설'에 대한 피아제의 반박

브루너의 대담한 가설에 대해 피아제는 발달단계의 문제가 있으므로 완전한 실현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감각동작기 혹은 전조작기의 영아동은 가역성이나 보존 따위의 법칙을 인지적으로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는데, 이런 낮은 발달단계의 아이들에게 맥스웰 방정식이나 자동차 파워트레인의 구동 방식을 그 나이에 맞는 표현법으로 바꿔 가르치는 것은 설령 가능하다 해도 순전히 '번역'을 위해 억겁의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브루너가 피아제의 이론을 참조하면서도 고의적으로 발달단계를 무시한 것이 아니라면 그의 대담한 가설은 비약이 다소 들어간 표현으로 봐야 하는 것이 맞다. 대담한 가설의 '어떤 내용도 쉬운 말로 바꾼다면 아이들은 배울 수 있다'라는 골자만 현대의 학부모들에게 전달되어 과도한 조기교육을 부추기기도 ..

대학생활&공부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