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 4

서술성이 있는 명사

명사의 일종인 서술성 명사의 분류! 1. 동작성 명사 : 특정한 동작 -> '-하다'가 붙으면 동사가 됨 2. 상태성 명사 : 어떤 상태나 성질 -> '-하다'가 붙으면 형용사가 됨 '-하다'가 자연스럽게 붙지 않으면 : 서술성을 갖는 명사, 즉 서술명사가 아니다. cf) 명사인 '문자, 게임, 소리'등은 '-하다'가 붙어서 '문자하다, 게임하다, 소리하다'가 되지만, 사전 기준 그 단어 자체가 동작,서술의 의미보다는 명사의 의미가 더 강하기 때문에(한자 등 어원에 동작성이 없음) 서술성(동작성) 명사로 보지 않습니다. '문자(를) 하다'처럼 '구'구성이 변형된 것의 일종으로 봅니다.

대학생활&공부 2020.08.01

있다, 없다의 품사

있다 : (동사로 쓰일 때) 안 움직이다, stay / (형용사로 쓰일 때) 존재하다 없다 : (형용사) 존재하지 않다 '없다'는 형용사로만!!! 있다(동사) : 안 움직이다, stay - 너 갔다 올 동안 나는 여기에 있는다? >> 나는 여기에 안 움직이고 stay 한다?/여기에 존재한다? (의미상으론 동사/형용사 판별 애매함) >> 선어말어미 '-는/ㄴ-'을 사용한 현재시제 종결형이 가능하므로 동사 - 책상 위에 있는 것 >> 책상 위에 stay하는 것/존재하는 것(의미상으론 동사/형용사 판별 애매함) >> 선어말어미 '-는/ㄴ-'을 사용한 관형사형 현재시제만 가능하므로 동사 (형용사는 선어말어미 '-은-' 사용 = '*있은' 것 불가) - 너 여기 그냥 있어라. / 우리 그냥 있자. / 우린 여기 ..

대학생활&공부 2020.07.29

논란이었던 '잘생기다'로 본 동사, 형용사 판별법 정리

여러분, '잘생기다'는 동사일까요 형용사일까요? 조금만 문법 교양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형용사'라고 판단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2017년 12월 국립국어원에서 '동사'라고 못박았습니다. 논란이 일파만파~~~ 국립국어원에서 나름 반박문도 게시했습니다. https://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board_id=4&mn_id=182&b_seq=2027&pageIndex=1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공지 사항 상세보기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17. 12. 15. 조회수 16311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 안녕하십� www.korean.go.kr 저로서는 반쪽은 수긍 가고 ..

대학생활&공부 2020.07.13

예문들로 알아보는 국어의 품사 통용(+품사별 특징)

품사 통용 : 한 단어가 둘 이상의 품사를 갖는 현상 이 나무가 저 나무보다 더 크다. (상태를 나타내서 형용사이며, '-다'와 결합해 현재시제를 표시합니다.) 이 나무가 저 나무보다 잘 큰다. (커진다는 동작, 즉 작용을 나타내서 동사이며, 마찬가지로 '-다'와 결합해 현재시제를 표시합니다.) 다섯은 넷에 하나를 더한 수이다. (수를 나타내는 다섯이 주어로 사용되어서, 체언 소속인 수사입니다.) 다섯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 (수를 나타내긴 하지만 후행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맡으며, 이는 관형사의 용법입니다.) 합리적으로 생각해 봐. / 합리적인 생각이다. (명사 특 : 조사와 결합) 합리적 생각이다. (조사 없고, 생각이라는 후행 체언을 수식하며, 이는 관형사적 용법) 비교적인 관점 (..

대학생활&공부 202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