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3

'아는것이 힘이다'?, '아는 것이 힘이다'? :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

멘티 학생이 이런 질문을 해왔습니다. "쌤 원래 공부하는 거 좋아해요?" "(반사적으로) 아니 싫어... 근데 그런건 있어. '아는것이힘이다'라는 건 믿고 있어." 이때 나는 '아는것이 힘이다'라고 해야 했을까요,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해야 했을까요? 한글맞춤법 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것'은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따라서 '아는 것이 힘이다' 가 맞습니다. 같은 원리로 '단위성 의존 명사'도 띄어씁니다. 곰 세 마리 북어 한 쾌 나이가 스무 살 연필 한 개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숫자와 어울려 쓰이는 경우에는 단위성 의존 명사를 붙여쓰는 것을 허용합니다.(띄어써도 됩니다) 두시 삼십분 제1과 제1실습실 3학년 10개 6층 1452년 8마일 선봉의 1대대 금오십만원 띄어쓰기..

대학생활&공부 2020.08.16

마의 불규칙 활용

국어 불규칙에 대해 도저히 감을 못 잡겠다면! 다음 신조(creed)를 알고 계시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될 것입니다. '불규칙' 활용이라 부르는 이유는 같은 자음모음 조건에서 다르게 읽히고 소리나는 '돌연변이 특정 단어'가 있어서다. 불규칙 '활용'이니까 용언 어간과 어미에서만 해당 현상이 발생한다. 어간이 뭔지 모르겠다면? 어간, 어근 구분 왜 쓸데없이 글자는 비슷해가지고... 간단히 말해서, 어간과 어근은 분석할 때가 다릅니다. 마치 명사/동사/부사 같은 품사와 주어/목적어/서술어 같은 문장성분을 부르는 때가 다르듯이... 어간� ojwisscary.tistory.com 다음은 모든 불규칙 종류를 개략적으로 빠르게 훑어보는 타임입니다. 꽤 많은 종류가 있지만 이것 역시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

대학생활&공부 2020.07.19

논란이었던 '잘생기다'로 본 동사, 형용사 판별법 정리

여러분, '잘생기다'는 동사일까요 형용사일까요? 조금만 문법 교양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형용사'라고 판단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2017년 12월 국립국어원에서 '동사'라고 못박았습니다. 논란이 일파만파~~~ 국립국어원에서 나름 반박문도 게시했습니다. https://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board_id=4&mn_id=182&b_seq=2027&pageIndex=1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공지 사항 상세보기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17. 12. 15. 조회수 16311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 안녕하십� www.korean.go.kr 저로서는 반쪽은 수긍 가고 ..

대학생활&공부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