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어 2

조사 총정리 #1 : 조사의 큰 분류, 조사 목록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조사가 존재하는 '교착어'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철수는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에서 는, 에서, 을, 다 가 조사입니다. 조사는 크게 이렇게 나뉩니다. 1. 격조사 : 선행 명사구의 격을 나타내주는 조사 (명사(구) 뒤에 붙음) 주격 조사 : 이/가, 께서, 에서, 이서 목적격 조사 : 을/를 보격 조사 : 이/가 서술격 조사 : (이)다 관형격 조사 : 의 부사격 조사 : 에, 에서, 로, 와, 과, 처럼, 만큼, 보다, 에게, 한테, 더러 ... 등등 많음 호격 조사 : 야/아, (이)여, (이)시여 2. 보조사 : 선행 명사구의 의미적인 기능을 첨가해주는 조사 (명사(구) 뒤에 붙음, 여러 격이 가능) 만, 도, 은/는, 까지, 조차, 마저, 부터, (이)나, ..

대학생활&공부 2020.08.19

형태소 분석 시 주의할 점 : 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을 따릅시다.

국어의 형태소 결합 규칙 1. 체언 + 조사 꼴로 결합됨. 어느 한 쪽이 없는 채로 문장이 종결될 수 없음. *체언 뒤에 조사가 안 붙은 채로 어미가 와서 문장 또는 어절이 종결될 순 없습니다. 그건 중세국어부터 내려져온 우리말의 고유한 교착어적 성질 입니다. 이를 헷갈리게 하는 주요 형태를 보겠습니다. 이것은 바다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법하며 느낌상 맞는 문장 같지만, 바다 + 다(평서형 종결 어미) 가 생짜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바다 + 이(서술격 조사) + -다(평서형 종결 어미) 의 결합입니다. 여기서 이(서술격 조사)는 선행 체언이 모음으로 끝나는 관계로 생략된 겁니다. 즉, 조사가 생략되더라도 체언+조사 꼴은 항상 유지된다는 겁니다. 일상생활에서 말할 때는 생략이 큰 상관 없지만, 형태소 분석..

대학생활&공부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