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2

(고2) 사회탐구 과목을 고르는 방법

1. 자신 진로와 강한 연관이 있는 과목을 고르면 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수준의 사회탐구 내용은 이후 대학에서 같은 내용을 배우게 될 때 개론서 또는 더 밑의 교양급 수준이다. 현대 한국 교육과정은 나선형 교육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자신이 가려는 학과와 거의 비슷한 과목을 '제대로' 공부한다면, 대학 공부를 확실하게 워밍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것이다. 2. 1은 여러 가지 조건들이 동시에 일치해야만 가능한 그야말로 '이상'이다. 인문사회계열 학과 중에 과목 2개만 잘 알면 도움되는 학과들이 몇이나 있겠는가... 대부분은 고등학교 과정을 탈피해서 새로 배우게 된다. 생활과 윤리-사회문화-한국지리라는 사회탐구 선택률 3대장은 관련 학과가 많기 때문이 아니라 출제 난이도가 평이하고 공부 난..

수험 처세술 2020.04.23

(고2) 모의고사 국어 푸는 순서

화법/작문/언어(문법) -> 문학 -> 독서(비문학) 화법작문언어는 국어 고득점을 목표로 한다면 웬만큼 잘 닦아놨을 '워밍업 스테이지'가 돼 있을 것이다. 문법 마지막 문제까지 푸는 데 늦어도 20분컷을 목표로 빠르게 국어뇌를 워밍업하자. 2017학년도(2016년 시행) 6평부터의 통합 국어는 문법 문제가 문학 지문이랑 합쳐서 나오는 등 지문 길이가 길어지는데 문제 푸는 데 활용할 부분은 옛날 스타일의 간략한 개념설명 분량이니 핵심을 잘 추리면 된다. 문학을 먼저 푸는 이유는, 읽을 지문도 길고 딸린 문제수가 많아서 촉박한 상황에서 당황하면 우루루 틀려버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비문학만큼 지문을 디테일하게 읽을 필요는 없지만, 비문학 과학/금융 지문에 털릴 때를 대비한 보험을 비축해둔다는 느낌으로 정성..

수험 처세술 2020.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