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학습자들에겐 열렬한 실용주의+실험주의자로, 교육학 학습자들에겐 '많은 외울 거'로 인식되는 존 듀이는 그 자체로 프래그머티즘적 해결 방법으로 보증된 주장가능성(warranted assertibility)을 제시했다. 보증된 주장가능성은 한마디로 '절대적 진리'를 듀이의 방식으로 대체한 개념이다. 상황을 막론하고 통용되는 해결책이 아니라 일단 살면서 맞닥뜨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증된 주장가능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걸 몽키스패너라고 치면, 당장 고장난 기계의 볼트를 푸는 데는 몽키스패너가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나중에 강아지가 아픈 데도 몽키스패너를 사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처럼 얼마든지 반박의 가능성이 있는 문제해결의 수단이 보증된 주장가능성인 것이다. '하얀 거짓말'류에 속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