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일러 2

암기지향 교육평가) 평가모형 - 타일러, 탈목표, 예술적, CIPP

타일러 목표중심평가모형 개념 : 이미 설정한 프로그램의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 명세적 행동목표가 기준이 됨 특징 교육목표가 핵심평가기준 행동용어로 된 교육목표에 비춘 평가는 쉬움 목표-성취 합치 여부를 체계적, 논리적으로 검증 가능 장점 행동용어로 목표를 진술하여 평가 기준이 명확하다. 목표-내용-평가의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목표 실현 정도를 평가로써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단점 행동용어로 진술할 수 없는 목표의 평가는 제외됨 목표로 미리 설정될 수 없는 부수적, 잠재적 교육효과는 평가가 불가하다. 교육성과만 중시하여 과정 자체에 대한 평가는 소홀해져 교육과정의 본질적인 개선은 힘들다. 스크리븐 탈목표평가모형 개념 : 프로그램이 의도한 효과+부수적 효과 = 실제 효과(가치)를 판단. 목표..

타일러식 교육과정은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낙관주의에 기초했다

타일러는 교육과정 개발의 하드웨어를 정립하였고, 교육목표 설정을 위한 단일한 원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정리했다. 이는 학습자,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바, 교과전문가들의 견해에서 '빈칸에 해당하는 내용'을 수집하여 효용성과 달성 가능성의 논의를 거치면 어떠한 주제도 타일러식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는 뜻과 같다. 교육부가 의도한 결실을 거두려면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대입할 것인가에 대한 세심한 논의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교육과정 제정자의 입장에서는 개발한 교육과정을 모든 학교와 학급에 보급하는 것이 주 목적인 만큼 절차를 거쳐 정형화된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보급하는 데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고, 그것을 상당부분 가능하게 한 타일러의 논리를 많이 참고하게 된다. 반면 직접 학생들을 지도해 온 ..

대학생활&공부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