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언 2

어떤 단어의 품사를 모르겠을 때

1. 감탄사입니까? 2. 띄어쓰기 없이 쓰인 곳의 뒷부분입니까? - 맞다면 >> 조사입니다. (띄어쓰기 없는 앞부분은 체언일 것. 이를 충족하는 '수를 나타내는 말'은 수사=수관형사 아님.) 2.. 활용하고 있습니까? - 활용한다면 동사 또는 형용사 >> 3.으로 - 활용 안한다면 체언 또는 수식언 >> 4.으로 3. 동사/형용사 구별 - 감탄형 어미 -는구나 가능 : 동사 - 목적/의도를 나타내는 어미 '-러/려' 가능 : 동사 -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만 가능 : 동사 -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ㄴ / -은'만 가능 : 형용사 -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 -ㄴ-' 가능 : 동사 4. 체언입니까? =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까? - 맞다면 >>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다. - 아니라면 수식..

대학생활&공부 2020.08.20

예문들로 알아보는 국어의 품사 통용(+품사별 특징)

품사 통용 : 한 단어가 둘 이상의 품사를 갖는 현상 이 나무가 저 나무보다 더 크다. (상태를 나타내서 형용사이며, '-다'와 결합해 현재시제를 표시합니다.) 이 나무가 저 나무보다 잘 큰다. (커진다는 동작, 즉 작용을 나타내서 동사이며, 마찬가지로 '-다'와 결합해 현재시제를 표시합니다.) 다섯은 넷에 하나를 더한 수이다. (수를 나타내는 다섯이 주어로 사용되어서, 체언 소속인 수사입니다.) 다섯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 (수를 나타내긴 하지만 후행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맡으며, 이는 관형사의 용법입니다.) 합리적으로 생각해 봐. / 합리적인 생각이다. (명사 특 : 조사와 결합) 합리적 생각이다. (조사 없고, 생각이라는 후행 체언을 수식하며, 이는 관형사적 용법) 비교적인 관점 (..

대학생활&공부 202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