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라우트(ㅣ모음 역행동화) : 후설모음+양순음/연구개음(출발지)에서 전설모음'ㅣ'(목적지)까지 혀를 움직이는 거리가 너무 멀어서 출발지를 미리 앞당기는 것. 그래서 바지, 가지, 소리 같은 개재자음이 치조쪽에서 소리나는 자음인 경우 목적지 ㅣ에서 움직일필요가 거의 없어 움라우트가 안 일어난다. 오이, 누이, 보이다 처럼 아예 개재자음이 空인 경우 혀 움직임의 부담을 그냥 이중모음화 시켜버리면 그만이다. (뉘, 뵈다) 중세국어땐 출발지가 후설모음+양순음/연구개음 이라 하더라도 목적지가 전설모음 'ㅣ'인 경우가 많이 없었다. 거의 후설모음 .(아래아)를 포함한 .ㅣ, ㅢ를 모음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리날땐 [ㅏㅣ], [ㅓㅣ], [ㅡ ㅣ] 쯤으로 소리났다. 근대국어때 이들이 [ㅐ], [ㅔ], [ㅣ]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