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인화 3

'나무, 풀'은 무정명사 : 유정명사와 무정명사

유정명사와 무정명사는 '감정'을 가졌냐 여부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생물이지만 동물은 유정명사고 식물은 무정명사입니다. 유정명사(감정 있음, '에게' 사용) : 엄마, 남자, 개, 소, 닭 ... 무정명사(감정 없음, '에' 사용) : 돌, 책, 컴퓨터, 풀, 나무, 화분 ... cf) 무정명사를 의인화하기 위해 무정명사에 '에게'를 쓰기도 합니다. (예 : 나무에게 물을 주다) cf) 뉴스기사 등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해 유정명사에 '에'를 쓰기도 합니다. (예 : 전국민에 당부)

대학생활&공부 2020.07.30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5(final) : 가전

가전 정의 사물을 역사적 인물처럼 의인화하여 가계, 생애, 성품, 공과 등 전기 형식으로 쓰는 한문 양식 전계 소설의 형성 (번호순) 1. 사전(열전) : 사관이 객관적으로 쓴 공식적 인물의 공식적인 전기 2. 家전(私전) : 사적 입장에서 개별적으로 서술한 항간 인물에 대한 전기 3. 탁전 : 자신의 이야기를 가상인물에 의탁해 우의적으로 쓴 자서전 이규보, 이규보가 벼슬하기 전 젊은 시절 쓴 것으로 풍류를 아는 자신의 모습 4. 假전 : 동식물을 등장시켜 인격을 부여시켜 가장 소설적 허구성이 강함 가전체, 의인전기체, 의인소설(갈등구조 등 소설적 구성은 부족해서 소설로 부르기는 부적절)의 이칭이 있음 주로 고려시대 작품 : 고려 서사가 가전 말고 딱히 없음 의인소설 : 가전, 우화소설 풍자소설 : 가전..

대학생활&공부 2020.07.16

한국고전소설 마인드맵 시리즈 #10 : 우화소설

우화소설 형성 대부분 민간에 전승되던 다양한 설화를 폭넓게 수용해 형성 발전함 가전보다는 한단계 발전 (의인화+소설적 구성) 애국계몽기까지 활발히 창작됨 금수회의록 종류 쟁년형 or 쟁장형 (나이 겨루기) 두껍전 (섬동지전) 근원설화 : 쟁장설화 (인도 불전의 본생설화에서 비롯됨) 고려대장경 : 탈새와 미후와 코끼리가 연장 다투다 탈새가 1등 간사한 인간상인 여우를 두꺼비가 이김으로써 쾌감을 느끼려는 민중의식의 발로 상반된 성격의 동물들 언동=인간사회의 비리와 인간성의 결함을 비유풍자 나이를 빙자해 항시 상좌만을 노리는 인간상 허망한 이론과 거짓으로 행세하는 인간상 백과사전식 소설 두꺼비 여우 간 장황한 대화 속에서 더 오래된 일을 안다면서 다방면의 지식 출연 (삼한습유에서도 비슷) 역대 인물고사, 천문..

대학생활&공부 202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