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어미 2

데, 지는 의존명사라매요? : 같은 형태의 의존명사와 어미의 구별

한글맞춤법 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데' '지'는 '부메랑을 던진 데로 갔다.', '식사한 지 30분이 지났다.' 등에 쓰이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니까 42항을 칼같이 따라 띄어서 써야겠죠? 그런데 이런 문장도 있단 말이죠. 내가 다리를 건넜는데 강아지가 따라왔다. 나는 밥 먹을 때 물을 먹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데', '지'를 붙여 쓰는 경우가 맞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땐 (연결)어미로 활용된 경우인데요. 의존명사로 쓰일 때와 어미로 쓰일 때 뜻 차이가 납니다. 붙여서 쓰는 '데'와 띄어서 쓰는 '데'가 동시에 나올 때 어떤 게 '띄어쓰는 게 맞는 의존명사 데'인지 알아보려면, '데'를 곳/장소/일/것/경우 로 바꿔서 읽었을 때 자연스러울 시 의존명사입니다. (바꿀 때 조사가 딸려 나..

대학생활&공부 2020.08.21

문장을 문법적으로 분석할 때 '어미'를 어디에 써야 할 지 : 용언의 활용

용언의 활용 활용 : 용언의 어간 뒤에 어미가 결합하는 것 -> "활용은 용언만 할 수 있습니다." 용언 활용의 종류 1 - 종결형 문장을 끝에서 끝맺는 활용형. 평서형/의문형/명령형/청유형/감탄형 이 있습니다. 익숙하시죠. 이때 나오는 어미는 '종결 어미' 입니다. 용언 활용의 종류 2 - 연결형 문장을 끝맺지 않고, 뒤에 오는 문장(혹은 보조 용언)과 이어주는 활용형 보조용언이 궁금하다면? 2020/07/13 - [대학생활&공부] - '아어게지고'가 머드라... : 보조적 연결어미, 본용언과 보조 용언 '아어게지고'가 머드라... : 보조적 연결어미, 본용언과 보조 용언 코로나 때문에 대인접촉을 피해 캠핑이라도 가고 싶다. 1. 본용언과 보조용언 가고 : 단독으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는 용언 싶다 :..

대학생활&공부 2020.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