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3

아무도 안 궁금해하는 수사의 특징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품사입니다. 1. 양수사와 서수사 수사는 크게 수량을 나타내는 수사인 '양수사'와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인 '서수사'로 분류됩니다. '양수사'는 '기본수사'라고도 합니다. 양수사 : 가격은 천 원입니다. / 사람 다섯 명 서수사 : 얘가 우리 첫째입니다. / 한국신문 제 일호 발간 2. 고유어 계열, 한자어 계열 국어에서 고유어로 셀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아은아홉' 그보다 큰 수는 한자어와 고유어를 섞어서 세야 함 '백~' 대체로 수 단위가 낮을 때는 고유어 수사가 쓰이지만, 수가 커질수록 한자어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음 3. 수학적 계산에서는 한자어가 쓰이는 게 일반적 4. 수량을 세는 단위명사 없이 사람이나 사물을 셀 때는 고유어만이 쓰임 계란..

대학생활&공부 2020.10.07

어떤 단어의 품사를 모르겠을 때

1. 감탄사입니까? 2. 띄어쓰기 없이 쓰인 곳의 뒷부분입니까? - 맞다면 >> 조사입니다. (띄어쓰기 없는 앞부분은 체언일 것. 이를 충족하는 '수를 나타내는 말'은 수사=수관형사 아님.) 2.. 활용하고 있습니까? - 활용한다면 동사 또는 형용사 >> 3.으로 - 활용 안한다면 체언 또는 수식언 >> 4.으로 3. 동사/형용사 구별 - 감탄형 어미 -는구나 가능 : 동사 - 목적/의도를 나타내는 어미 '-러/려' 가능 : 동사 -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만 가능 : 동사 -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ㄴ / -은'만 가능 : 형용사 -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 -ㄴ-' 가능 : 동사 4. 체언입니까? =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까? - 맞다면 >>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다. - 아니라면 수식..

대학생활&공부 2020.08.20

관형사가 딴 품사처럼 보이는 경우 2가지

수사 / 수 관형사 둘 더하기 셋 >> 수사 (체언) 컵 여덟 개 >> 수 관형사 관형사 / 안긴문장의 형용사 나는 모르니 다른(=딴) 사람에게 가. >> 관형사 ('딴'이라는 준말 가능) 너와 생각이 다른 사람도 있다. >> 안긴문장의 형용사 ('딴'이라는 준말 불가능, 안긴문장은 '너와 생각이 다르다', 안은문장은 '사람도 있다.') 참고문헌 : 현대국어형태론(황화상, 지식과교양)

대학생활&공부 2020.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