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비트는 테일러의 의 영향을 받고 학교:학생:커리큘럼:사회:이상적 어른을 각각 공장:원자재:생산라인:소비자:완제품에 비유하였다. 원자재인 학생이 학교라는 공장에서 커리큘럼이라는 생산라인을 이상 없이 통과하면 완제품이 되어 졸업하여 사회의 요구에 맞게 기능하기를 기대한 것이다. 이는 20세기 초 미국의 산업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던 상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유럽과의 국제 관계에서 우위에 서기 위해 미국은 산업과 노동의 선순환을 놓쳐서는 안 됐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학생들을 성인으로 전환시켜 사회의 노동시장에 배출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빠른 사회 적응을 위한 생활 경험이 주로 가르쳐졌다. 이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의 개성과 발달상태의 차이에 따른 배려는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